아이의 건강만큼이나 신경 쓰는 것이 ‘두상’이다. 한번 결정된 두상은 평생 바뀌지 않으며, 두상이 납작해지는 단두증과 머리뼈가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사두증으로 여러 문제를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정기적으로 아기의 두상을 관찰하고, 치료가 필요할 경우 두상 교정을 진행해야 한다. 아이의 두개골은 뇌가 성장하며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생후 18개월까지 형성되며, 이때 두개골의 대천문과 소천문, 6개의 성장선, 두개골 기저부의 성장선이 일정하게 열리고 닫혀야 한다.

만약 그러지 못하면, 가족력이나 유전적 질환에 관계없이 두개골조기유합증이 발생할 수 있다. 뇌막 질환이나 선천적인 뇌의 손상으로 뇌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높지 않은 확률로 두개골조기유합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외형적으로 두상이 둥글지 않을뿐더러, 뇌압이 상승해 두통과 시력 저하, 구토, 사시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CT와 3D CT를 통해 아기의 두상을 삼차원적으로 검사한 후, 두상 교정 헬멧을 활용해 교정하는 게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다만, 증상이 심한 경우 생후 3개월 이내에 치료하기도 하며, 턱이 돌아가서 생기는 사경이 동반된 아기는 동시 치료를 해야 한다.

체위성 사두증과 단두증은 치료 시 생후 만 4개월~8개월을 치료 최적기, 8개월~12개월을 치료 가능기로 구분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적용하며, 교정기 치료 후 적절한 관리가 이어질 수 있도록 상시 체크 해야 한다.

프로필 성형외과 정재호 원장은 “흔히 두개골 조기유합증은 생후 6개월~12개월을 치료 적기로 본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아이의 발달과 발육 정도를 정확히 체크하고, 두개골 스캐너로 머리형을 확인해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아기 두상 교정을 통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정 시작 전과 교정 3주 후를 비교해 계획한 머리형으로 교정되고 있는지 확인해야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