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어지럼증·구역·구토 증세 있으면 병원 진료 받아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신희섭 교수. 사진=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제공
[데일리한국 김진수 기자] 겨울철에는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2015년 낙상으로 입원한 환자 중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 낙상사고 발생 비율이 11% 높았다.

낙상은 단순한 찰과상으로 끝날 수도 있지만 심하면 손목·고관절·척추 등의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하게 미끄러져 머리를 다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머리를 다쳐 발생하는 주요 급성 증상은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이다. 낙상 후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뇌진탕인 경우가 많은데 뇌진탕은 뇌 구조의 이상은 없으면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일시적인 기능부전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신희섭 교수는 “두부 외상 후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있어 CT 또는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했는데 골절, 뇌출혈 등의 뚜렷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뇌진탕을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은 경우, 뇌진탕으로 인한 증상은 외상 발생 2주 전후로 호전을 보이기 시작해 4주 정도면 해소된다. 오랜 시간 지속되는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는 드물다.

약물치료 및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 일부 증상은 단기간에 호전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에는 기본적인 회복 기간(2주~4주)이 필요하다. 이 기간 동안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 증상을 조절해야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일상 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하다.

환자에 따라 뇌진탕 증상이 몇 달씩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뇌진탕 후 증후군’이라고 한다. 두통의 만성화, 전정기관 기능의 저하, 경추 근육의 경직 및 약화 등이 주요 이유이다.

이 외에도 통증이 지속됨에 따라 우울감,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인한 소화 기능 저하가 동반되기도 한다. 드물게는 인지기능의 저하, 단기 또는 장기 기억의 저하를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뇌의 기질적, 기능적인 문제로 인한 것일 수도 있지만 우울감, 집중력 저하로 인한 증상일 수도 있다.

뇌진탕은 비교적 가벼운 두부 외상이다. 하지만 두통, 구역 등의 증상은 심하게 나타나고 때때로 길게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머리를 다친 후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외상성 뇌 손상이 있는지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신희섭 교수는 “통증, 어지럼증 등 신체 증상에 대한 치료와 더불어, 우울, 불안감등에 대한 정신건강의학적인 접근이 동반돼야 하는 경우도 있다. 증상에 맞는 치료를 시행해야 빠르고 완전한 회복을 얻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만약 낙상 후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수주~수개월 후 두통, 반신마비, 보행장애,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생기면 ‘만성 경막하 출혈’을 의심해야한다.

두부 외상 당시 매우 작은 혈관이 손상 받아 출혈이 생기면 두개강 내에 서서히 피가 고이게 된다. 어느 정도 피가 고일 때 까지는 증상이 없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증상이 발생한다.

만성 경막하 출혈은 뇌졸중의 증상과 비슷해 오인하기 쉬우나 뇌전산화단층촬영(CT)만으로 간단히 진단이 가능하고 수술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