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출하량 연평균 14% 성장 전망, 인공지능·5G 변화에 제품 수요↑

삼성·SK하이닉스·마이크론간 경쟁 심화…AWS·MS 등 美기업 입김 커져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언한 기자] 전세계 서버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고점론'의 탈출구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주도하는 클라우드 시장 성장세, 기업의 고스펙 서버 전환 추세가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를 야기한다.

12일 시장조사기관 디지타임스 리서치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전세계 서버 출하량이 연평균 14%씩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전체 성장률에 기여하는 비중은 20%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서버 한 대 제조원가에서 D램 등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7~8% 정도다. 올해는 고스펙 D램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의 서버 채택이 늘면서 서버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으로 이어졌다. 삼성·SK하이닉스의 반도체 영업이익률 확대에 기여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글로벌 서버 평균판매가격(ASP)은 약 5200달러를 기록했다. 메인프레임 서버, 유닉스 서버 등 모든 서버를 포함시켜 계산한 값이다. 이 중 메모리반도체 원가를 8%로 단순 계산할 경우 65달러가 메모리 가격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기업들이 10Gbps급 서버를 25Gbps급 제품으로 전환하는 현상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서버에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고스펙 메모리반도체가 채용된다. 디지타임스 리서치는 "20Gbps급 서버는 2020년내로 10Gbps급 제품 수요를 앞지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앤드류(Andrew) H 김 가트너 서버담당 연구원은 "머신러닝, 딥러닝, IoT 관련 워크로드 지원을 위해선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성능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며 "기업이 높은 스펙의 서버 구매를 선호하면서 서버 평균판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반도체 상위 업체간 서버용 메모리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의 지난 3분기 서버용 D램 매출은 2분기에 이어 전체 D램 매출의 30%를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고성능 서버용 D램 제품을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SK하이닉스 역시 3분기 서버용 제품 비중이 전체 D램 판매량의 40%를 상회한 것으로 판단된다. SK하이닉스의 지난 2분기 전체 D램 판매량 중 서버용 비중은 38.8%까지 올라왔다.

가트너에 따르면, 전세계 서버 출하량은 2021년까지 매년 성장세를 이어간다. 올해 1233만대에서 내년 1262만대, 2020년 1297만대, 2021년 1334만대 서버가 출하되며 성장세를 시현할 전망이다. 가트너는 디지타임스 리서치와는 달리 내년 2.3%, 2020년 2.8%, 2021년 2.9%씩 서버 출하량이 매년 늘어날 것으로 봤다.

특히 시장 성장을 이끄는 것은 북미 지역의 데이터센터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전세계 서버의 40%가 북미 시장에서 소비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구글, AWS,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20%를 손에 쥐고 있다.

앤드류 H 김 가트너 연구원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의 서버 시장 장악력이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며 "미국은 미션 크리티컬(시스템이 다운되면 안되는 시스템) 워크로드에도 클라우드를 이용하면서 전세계 최대 서버 시장이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