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북스타출판사 제공
[데일리한국 고은결 기자] 소프트웨어·디지털 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북스타출판사에서 출간된 '이더리움 베이직-스마트 컨트랙트 입문에서 DApp구현까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의 전제 조건으로 데이터를 꼽는다. 또한, 데이터를 보다 영리하게 다루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블록체인 기술'을 강조한다.

책은 인공지능 등 기술이 신성장 산업의 엔진이라면, 블록체인 기술은 신성장 산업의 뿌리가 된다고 말한다. 성공적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의 전제 조건은 데이터인데, 인공지능은 수많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빅데이터는 데이터가 많아야 제대로 된 분석을 내놓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는 양질의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하느냐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제공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매우 비싸며, 더불어 해킹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지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이같은 비용의 지출을 절약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책은 "블록체인은 믿지 못하는 당사자들이 데이터 또는 신뢰 자산을 안전하게 전달, 교환, 저장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이라며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데이터 및 자산 거래의 신뢰성을 쉽고 값싸게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책은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헬스 케어 분야뿐 아니라 정치, 공공, 그리고 행정 서비스에서도 혁신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예컨대 블록체인이 전자 투표에 응용되면 투표의 행정 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져 직접 민주주의가 가능하게 되고 스마트 계약으로 모든 공공 및 행정 서비스가 투명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분권, 자율, 수평적 행정을 위한 정부 4.0 마스터 플랜이 요구된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데이터 및 자산·거래의 신뢰성을 제공하여 거래 비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 쓰여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다.

책은 또한, 국내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이 평가절하된다고 호소한다. 지난해 영국에서는 사물인터넷 지원 규제 계획을 수립하고, 역량 확대를 위한 IoTUK 정책을 개시하고 블록체인 기술의 연구·개발에 2015년에는 약 140억 원(2015년), 2016년에는 약 212억 원을 투자한 바 있다. 호주의 경우 블록체인을 국가 미래 기반 기술로 선정, 블록체인 전용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다양한 시범 사업(CSIRO's Data61)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국은 금융위원회 주도로 은행권 블록체인 컨소시엄과 자본시장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만들어져 시범 사업을 논의 중에 있지만, Positive 규제로 인해 새로운 서비스를 시도해 볼 수 없는 상황이란 지적이다. 가령 기획재정부는 지난 1월 13일, 블록체인 기반의 최초 전자화폐인 비트코인을 이용한 국외 송금을 외국환 관리법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불법으로 규정했다.

책은 "블록체인 기술의 개발은 우리나라의 정보 주권을 지키는 길"이라면서 "4차 산업혁명의 운영 체제라고 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누가 주도하느냐에 따라 세계 경제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고 거듭 강조한다. 만약 블록체인 기술의 주도권을 얻지 못한다면,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 자산이나 헬스 데이터가 외국 기업이 주도하는 블록체인에 저장, 관리, 거래가 되어 의존도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내놓는다.

고려대학교 블록체인 연구회, 조수현ㆍ이정빈ㆍ박재용ㆍ이대건ㆍ인호 공저, 북스타출판사, 1만9000원.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