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야간·비가시권 드론 비행 승인 기준' 고시
안전귀환·낙하·충돌방지·위치발신 등 기능 갖춰야

드론을 어두운 밤에 날리거나 조종자 눈으로 볼 수 없는 먼 곳까지 날리려면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등 안전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무인비행장치 특별비행을 위한 안전기준 및 승인절차에 관한 기준'을 고시했다고 14일 밝혔다.

그동안 드론 비행은 안전을 이유로 일몰 이후부터 일출 이전까지, 그리고 조종자의 시야를 벗어나는 비(非)가시권의 경우 비행이 금지됐다.

이달 10일 항공안전법이 개정되고 국토부가 특별승인제를 도입하면서 이제 일정한 안전기준만 충족하면 비행이 가능해졌다.

국토부는 법 개정에 따라 전문가·업계 등 의견을 수렴해 안전기준을 마련했다.

안전기준에 따르면 드론의 야간·비가시권 비행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기체 안전검사를 통과하고, 비행에 필요한 안전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드론이 비행 중 통신두절, 배터리 소모, 시스템 이상 등을 일으킬 때를 대비해 안전하게 귀환·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동안전장치(Fail-Safe)를 달아야 한다.

비행 중인 드론이 장애물을 감지해 장애물을 피하도록 충돌방지기능을 갖춰야 하며, 추락 시 위치정보 송신을 위해 별도의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위치 발신기를 달아야 한다.

드론 비행에 참여하는 조종자 등은 비상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받고, 비상시 매뉴얼을 소지해야 한다.

드론을 날리다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해 손해배상을 위한 보험·공제에도 가입해야 한다.

야간 비행 허가를 위해선 비행하는 드론을 확인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관찰자를 배치해야 한다. 아울러 5㎞ 밖에서도 비행 중인 드론을 알아볼 수 있도록 충돌방지등을 부착해야 한다.

야간에도 조종사가 실시간으로 드론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외선 카메라 등 시각보조장치(FPV)도 갖춰야 한다.

야간 이·착륙장에는 지상 조명시설과 서치라이트가 있어 드론이 안전하게 뜨고 내릴 수 있는 환경이 확보돼야 한다.

비가시권 비행 허가를 위해서는 조종자가 계획된 비행경로에서 드론이 수동·자동·반자동으로 이상 없이 비행할 수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비행경로에서 드론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자를 한 명 이상 배치하고, 이 관찰자와 조종자가 드론을 원활히 조작할 수 있도록 통신을 유지해야 한다.

통신망은 RF 및 LTE 등으로 이중화해 통신 두절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시각보조장치(FPV)를 달아 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만약 비행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조종자에게 알리는 기능도 갖춰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규제를 선제적으로 완화하면서도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했다"며 "기준 적용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충분한 의견 수렴을 통해 보완해 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연합뉴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