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고은결 기자] 정보통신(IT) 및 전자 산업의 부흥을 위해 '디지털 인디아' 슬로건을 내세운 인도에서 일부 기업들이 쓴맛을 보고 있다. 중국에 이어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인도를 점찍고 나섰지만 현지 당국과의 동상이몽으로 입맛만 다시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인도 현지매체 이코노믹타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애플의 중고 아이폰 수입 판매 요청을 거듭 불허했다. 애플은 저가 보급형폰이 주를 이루는 인도 시장에서 세를 키우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도정부에 중고 아이폰을 판매를 신청했다. 하지만 인도 정부는 중고 아이폰 판매로 불거질 수 있는 전자 쓰레기 문제를 언급하며 오히려 애플의 발상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최근 인도에 강력한 러브콜을 보내온 애플 입장에서는 계획에 중대한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애플의 대표제품인 아이폰이 2007년 출시 이후 처음으로 판매 대수가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했기 때문이다. 13년간 이어온 초고속 성장에 제동이 걸리게 된 셈이다.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률조차 제자리걸음인 가운데 지금도 '기회의 땅'으로 불리는 인도시장에서 조차 고전을 면치 못한다면 경쟁력을 상실할 수 밖에 없다는 긴박감도 감지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여러 중국 제조사들이 맞춤형 제품을 내놓으며 공격적인 판촉을 펼치는 가운데 애플의 행보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최근 선보인 보급형 아이폰조차 스마트폰 평균 판매가가 120달러(약 13만 원) 수준인 인도 현지에서는 상당히 비싼 것으로 인식된다는 얘기도 들린다.

앞서 인도시장 진출을 가속화 하기 위해 무료 인터넷 서비스 '프리베이직'을 준비해온 페이스북도 '망 중립성 원칙' 위배 문제로 난관에 직면한 상태다. 프리베이직은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들에 무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다만 무료 인터넷의 범위는 프리베이직 플랫폼을 사용하는 일부 서비스로 국한됐다.

프리베이직은 결국 콘텐츠 내용에 따라 인터넷망 이용료와 이용 속도를 '차별'한다는 지적을 받으며 당국의 허가를 받지는 못했다. 당시 인도 정부는 프리베이직이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 제공해 인터넷 이용자의 경합서비스를 저해하고 '망중립성 원칙'을 침해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