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지용준 기자] 보건당국이 2025년까지 인체 항생제 사용량과 비인체 항생제 판매량을 지금보다 각각 20%, 10% 낮추는 방안이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와 감염병 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현재 26.1DID(인구 1천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에서 2025년 20.9DID로 20% 줄이고, 비인체 항생제 판매량은 현재 보정단위(PCU)당 217㎎에서 2025년 195㎎으로 10% 감축하는 게 목표다.

복지부는 꼭 필요한 곳에 항생제 양과 종류를 적정히 사용해 항생제 내성균을 줄이고, 이미 발생한 항생제 내성균이 확산하지 않도록 감시체계를 강화해 적극적으로 감염 관리를 추진할 방침이다.

항생제는 감염병 치료제로 쓰인다. 하지만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에 사람이나 동물이 감염되면 기존 사용하던 항생제 효과가 줄어들어 해당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렵게 된다.

항생제 사용량은 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는데, 2019년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26.1DID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인체(축·수산) 분야 항생제 사용량도 마찬가지다. 2017년 사이언스에 따르면, 한국의 축산물생산량 반영 항생제 사용량은 PCU당 188㎎으로 일본(78㎎), 덴마크(28㎎) 등 주요 국가와 비교해 많다.

주요 항생제 내성률과 감염 보고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내성률은 2007년 26.0%에서 2019년 40.9%로 증가했다. 2010년 국내 처음 보고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은 2020년 1만8904건 발생했다.

특히 장기 입원이 많아 내성균 전파 위험이 있는 요양병원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이 종합병원과 비교해 높고,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축산 분야 항생제 내성률도 선진국보다 높다. 2019년 기준 닭 대장균의 제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내성률은 한국이 13.2%, 덴마크 0.6%, 플로르퀴놀론계 항생제 내성률은 한국 78.3%, 덴마크 1.9%로 나타났다.

주수영 질병관리청 항생제내성관리과장은 "항생제 오남용으로 내성균이 발생하고, 이미 발생한 내성균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남용 방지와 내성균 확산 방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