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장 가동 중단으로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

해운선사, 비용절감 등 자구책 마련 고심

해수부, 해운업계 긴급지원…'비상대책본부 가동'

부산항 컨테이너 부두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코로나19’ 발생 여파가 국내 해운업계에게도 피해를 미치고 있다. 중국 내 공장 가동이 코로나19로 차질이 생기면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대폭 줄어든 탓이다.

2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중국 기항 화물선은 전년 대비 6.2% 감소했고, 대중국 컨테이너 물동량은 4.5% 감소했다. 해수부는 우리 해운·항만 업계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지난 10일 해운 업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벌크 화물 운임지수(BDI)는 411로 떨어지며 4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BDI가 낮을수록 해운업황이 어렵다는 뜻이다. 이날 기록한 BDI 411은 지난해 9월보다 83.7% 급락한 수치다.

해운업계에선 이번 물동량 감소가 중국 춘제 연휴 연장으로 인한 중국내 공장 가동 중단 때문으로 분석했다. 일부 공장은 가동을 재개했지만, 아직 코로나19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완전 정상화 시기는 아직 미지수다.

운임마저 하락하고 있어 해운업계의 걱정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상하이발 미국 서안행 컨테이너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1423달러로 집계됐다. 전달 1543달러에서 120달러 가까이 하락했으며 지난해 1834달러와 비교하면 400달러나 떨어졌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해운업에 있어 사실상 천재지변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라 피해를 입을 수 없다”면서 “정부의 지원 대책과 해운사들의 자구책 마련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해운업계에선 대책마련에 나섰다. SM상선은 중국지역 물동량 감소로 시장상황이 불확실한 만큼 임원들의 급여를 10% 삭감하기로 했다. 경영진이 솔선수범해 비용절감에 나서겠다는 뜻이다.

현대상선도 올 3분기 흑자전환을 목표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19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상선 측은 “그동안 지속해 온 우량화주 확보, 운영효율 증대 및 비용절감 방안을 더욱 정교화해 사업 경쟁력을 갖춰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도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분야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에 나섰다.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본부를 가동,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해수부는 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해운업계에 긴급경영자금 600억원을 지원하고, 항만시설사용료를 대폭 감면해주기로 한 바 있다. 먼저 화물 선사에 대한 긴급유동성 지원, 선박검사 유효기간 연장 등의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해양진흥공사의 금융 지원을 받은 선박에 대해서는 감염 경보 해제시까지 '세일 앤드 리스백(S&LB)'원리금 등의 납부를 유예한다. S&LB는 선사의 선박을 매입한 뒤 선사에 재용선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는 이번 사태가 3개월 이상 지속하고 한중 항로의 항만 물동량 감소가 입증되면 기존보다 강화된 S&LB 사업을 통해 화물 선사에 유동성을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대중국 물동량이 지난해 기준 2억2000만톤으로 국내 수출입 물동량의 16.8%를 차지하는 점을 감안, 컨테이너 대체장치장 확보, 환적 물량 유치 지원 등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도 추진한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코로나19 대책회의에서 “긴급 지원대책을 통해 관련 업계의 경영 애로를 해소하고, 흔들림 없는 항만운송 체계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단계별 대응방안 수립과 항만 경쟁력 강화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