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2020년 부동산시장 전망' 언론 브리핑서 밝혀

2018년 기준 10.8년치 소득 모아야 서울 아파트 구입

올해 주택시장 하향 안정세 전망…집값 0.9%·전세 0.4%↓

김성식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이 21일 서울 한국감정원 강남사옥에서 열린 '2020년 부동산시장 전망'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박창민 기자
[데일리한국 박창민 기자] "서울 PIR(소득 대비 아파트 가격 비율)이 10배 수준을 넘었기 때문에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고 있는 것이다."

김성식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21일 오전 한국감정원 서울 강남지사에서 열린 '2019년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20년 전망'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국감정원이 자체 분석해 발표한 PIR에 따르면 2018년 전국 PIR은 5.6배이며, 서울과 지방 지역의 PIR은 각각 10.9배, 3.8배였다.

특히 서울 PIR은 2016년 9.1배, 2017년 10.2배에 이어 2018년 10.9로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지방은 3.8배, 4.0배, 3.8배의 흐름을 보였다.

PIR은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당지역 PIR이 10배라면 그 지역 주민들의 10년치 평균 소득을 모아야 주택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2018년 서울 평균 경상소득이 6595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10.8년치 소득인 7억1226만원을 모아야 서울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다. 2019년 PIR은 통계청에서 2019년도 경상소득을 발표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빠졌다.

이 같은 서울 PIR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한국감정원은 설명했다.

김성식 원장은 "현재 서울 PIR은 글로벌 기준으로도 굉장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통상 한 국가 수도의 PIR은 5~6배 수준이며, 그 국가 전체의 PIR(해당 국가의 전국 PIR)은 3~4배 정도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원장은 "과도하게 높은 서울 PIR은 향후 소득 뒷받침 없이 집값만 올라가 전국민이 피해를 본 일본과 같은 일이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면서 "정부가 투기수요 억제를 목적으로 (시장에) 개입하고 있는 이유"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감정원은 국내 유동성 자산이 지나치게 부동산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김성식 원장은 "한국 자본시장의 큰 문제는 너무나 많은 자산이 부동산에 잠겨 있다는 것"라면서 "전 세계의 자산 비중은 대체로 금융자산 60%, 부동산 자산 30%, 기타자산 10%인 반면 대한민국은 부동산 자산 60%, 금융자산 30%, 기타자산 1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다른나라처럼 부동산 자산이 30% 규모로 변하고, 나머지 자산이 생산적인 부분에 투입돼 실물 경제 자본시장을 순환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한국감정원은 정부의 12·16 부동산 종합대책에 따른 대출규제 및 보유세 강화로 올해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각각 0.9%, 0.4% 감소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주택 매매거래량은 정부의 지속적인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고가 주택시장의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지난해보다 0.7% 감소한 80만건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