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타격업종은 일반기계·석유제품·반도체 순

기업 최우선적 대응방법은 '대체 수입선 확보'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데일리한국 정은미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나라 기업 절반 이상이 경영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평균 영업이익 1.9%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일부 기업의 경우 적자가능성도 제기됐다.

19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등 수출규제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51.6%를 차지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국내 대기업의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2.8%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13.6%)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5.7%로 감소폭이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영업이익도 평균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7.9%)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이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영업이익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영업이익 감소율은 평균 3.7%로 나타났다.

유환익 한경연 상무는 “설문조사 결과대로 영업이익이 1.9% 감소할 경우 지난해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단기적 대응방안으로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와 부품소재 물색(15.9%)를 꼽았다. 이어 일시적 사업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 순이었다.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로는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으로 나타났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는 기업들은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을 원했다. 이어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순으로 답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