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차질·기후변화로 인플레이션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어”

사진=한국은행
[데일리한국 이혜현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새해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한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신년사에서 이런 통화정책 방향을 예고하고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금융 불균형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의 영향을 함께 짚어가며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가와 환율, 부채 관리와 취약계층 지원 등도 강조했다.

그는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해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며 “대출제도 운용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당분간 유지하되, 지원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 코로나 이후 상황을 대비한 중장기 개선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연준(Fed)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금리 인상을 이미 시작했거나 예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러한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 유출입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는 만큼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각종 금융지원의 정상화 과정에서 가계와 기업 부채의 잠재 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차주(대출자)의 채무상환능력 등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을 상시 점검하고 정부와 협력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라고도 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 안팎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전했다.

그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팬데믹 종식을 가늠하기 어렵고 글로벌 공급 차질과 기후변화 대응 등의 영향으로 높아진 인플레이션이 당초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에 따른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주요국간 경쟁과 갈등으로 글로벌 가치사슬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도 최근 방역조치 강화로 대면서비스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소비회복세가 제약될 것이란 걱정이 커진 가운데 위기 이후 늘어난 경제주체들의 채무는 우리 경제의 취약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대내외 여건 변화가 많은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며 우선 감염병 상황으로 피해를 입는 취약계층이 어려움에서 조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향후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범위 내에서 이들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잉부채 등 내부의 약한 고리는 대외환경 악화 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취약성을 미리 찾아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인구구조 변화나 불평등 확대, 기후변화 등의 정책환경 변화를 통화정책 운영에 어떻게 고려할 수 있을지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