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으로 활로 모색 필요하지만 단기간내 성과 한계

"일부 영업 못할 수도" 하반기 영업전략 두고 깊은 고심

사진=유토이미지
[데일리한국 견다희 기자] 저축은행 업계가 커다란 암초를 만났다. 올 상반기에도 호황이 이어지면서 호실적을 내고 있지만 하반기부터 금융당국이 실시하는 ‘대출 총량규제’로 실적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1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7일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현행 연 24.%에서 4%포인트 낮은 20%로 인하됨에 따라 신규 대출 뿐만 아니라 20%를 초과한 기존 대출도 소급적용돼 연 20% 이하로 일괄 적용해야 한다.

게다가 대출총량규제 대상에 그간 효자상품인 중금리 대출이 포함되면서 영업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금리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0조3057억원으로 지난 2019년 4조6000억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이 중 대부분이 가계대출 자금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가 높아지면서 중금리 대출 잔액도 같이 불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업계는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마냥 즐거워 하기 힘든 분위기다. SBI OK 페퍼 웰컴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상위 5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순이익은 2290억원이다.

여기에 대출총량 규제까지 저축은행들의 발목을 잡을 전망이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저축은행의 2021년 가계대출 관리계획’을 전달했다. 저축은행들에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21.1%룰’을 적용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지난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에서 대출을 취급하게 된 셈이다.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던 저축은행들은 큰 걸림돌에 직면하게 됐다. 이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실행된 대출이 100%라고 치면 이제는 20%로 줄여야 한다는 의미다”며 “리스크가 있다 보니 저신용자들이 찾던 상품의 가입 문턱을 높여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큰 손해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2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면 저신용자들은 절벽 끝으로 몰릴 수밖에 없고 불법 사금융 이용이 늘면서 신용불량자도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금융당국은 저신용자들을 위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들은 추후 대출관리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인하되면서 중금리대출 금리 상한도 낮아지는데 이렇게 되면 예대마진 하락은 불 보듯 뻔하다.

이런 상황에 전체 가계대출 잔액과 중금리대출 잔액 관리까지 해야 하는 난관에 봉착한 셈이다. 상반기에 대출을 많이 실행한 저축은행의 경우 하반기 대출잔액 여유가 많지 않아 사실상 영업을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여신 외에 다른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단기간에 신사업을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리스크 관리도 더욱 요구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는 최근 ‘저축은행업권의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및 리스크 요인’ 보고서에서 저축은행들의 개인사업자 대출은 차주의 신용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고 경기변동에 취약한 업종에 편중돼 있어 건전성 현황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에 민감한 업종의 영업환경이 악화한 것도 개인사업자 대출의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소득기반이 취약한 영세사업자는 폐업률 및 잠재부실률이 전체 사업자 대비 높아 업황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대출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이 보고서에서 진단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사업이 여신에 치우쳐 있으나 단기간에 신사업을 추진하기에도 한계가 있어 하반기 영업을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이 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