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펀드는 장기 존속이라는 점 유념해야…정권 바뀌면 '찬밥' 가능성도

정부가 '한국판 뉴딜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 사진=KTV 라이브 캡처
[데일리한국 이윤희 기자] 정부가 부동산으로 몰리는 시장 유동성의 '물꼬'를 돌리기 위해 '한국판 뉴딜펀드'를 조성한다. 투자자로 참여할 국민들은 관심과 동시에 의심도 하고 있다.

'관제펀드'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의 요구가 아닌 정부 주도로 만들어진 '관제펀드'는 공공성 있는 사업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투자자에게는 리스크가 있다. 과거 관제펀드는 정권 교체 후 '찬밥'이 되기도 했다. 특히 인프라 공모 펀드 등은 그 특성상 펀드 존속기간이 길다는 점에서 만기 설정이 수익률을 가르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정책형 뉴딜펀드 △뉴딜 인프라펀드 △민간 뉴딜펀드 등 도입 방향을 제시했다. 이중 뉴딜 인프라펀드는 민간투자법상의 인프라펀드와 자본시장법상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펀드, 리츠(부동산신탁회사)를 대상으로 한다. 장기 존속형인 이들 펀드는 기대수익률이 낮고 다음 정권에선 외면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과거 박근혜 정부가 '통일 대박'을 외치며 개설한 ‘통일펀드'도 정권과 함께 사라졌다. 지난 2014년 자산운용사들이 줄지어 출시한 통일펀드는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이후 수익률이 급락했다.

박 전 대통령이 1호 가입자로 나선 '청년희망펀드'는 만 3년도 안돼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3개월뒤인 2018년 8월 판매가 중단됐다. 2017년 '교보악사우리겨레통일'이, 2018년 '하이코리아통일르네상스'가 각각 청산 절차를 밟았다. 현재는 신영자산운용의 상품만 유일하게 남아 있다.

'하이코리아통일르네상스증권자투자신탁(주식)'이 -2%대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나머지 펀드들도 -9%대에서 최대 -11.55%의 수익률을 냈다.

그 전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펀드'(이하 녹색펀드)도 마이너스 성적을 보였다. 2008년 이명박 정부는 녹색성장 정책에 맞춰 녹색펀드를 내놨다. 2012년까지 42개 상품이 나왔고 설정액은 3000억원이나 됐다. 당시 정부도 녹색펀드에 대한 배당소득을 비과세 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뀐 다음해인 2014년쯤부터 투자자들의 자금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펀드 자산 대부분이 녹색성장과 큰 관련이 없는 삼성전자, LG전자에 투자됐지만 수익률도 좋지 못했다. 녹색펀드 5년 수익률은 28.51%로, 다른 테마 펀드들의 수익률에 못미쳤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경우 한 차례 관제펀드를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지난해 출시한 대표 '소부장(소재·부품·장비)펀드' 펀드인 'NH아문디필승코리아펀드'의 최근 연간 수익률(2일 기준)은국내 주식형 펀드의 2배에 달하는 49.39%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3일 인프라펀드의 만기문제와 관련, "국민의 투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존속기간이 5∼7년 되는 비교적 짧은 공모 뉴딜 인프라펀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 5~7년 만기 인프라 펀드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은 제한적"이라면서 "태양광 발전소, 물류센터와 데이터센터 건설 등 개발 사업 성격의 사업에 투자할 경우 수익을 내기까지 장기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