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혜현 기자] 공인인증서가 21년 간 누려온 독점적 지위가 오는 12월 달부터 사라지면서 은행권에는 자체적으로 새로운 공인인증 서비스를 개발할 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공인인증서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앞으로 은행이나 IT기업 등이 개발한 사설 인증서가 공인인증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기존 공인인증서의 복잡한 발급 절차 등의 불편함을 보완한 사설 인증서 활용범위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은행연합회와 회원사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국내대표 은행 16개가 만든 은행권 공동 인증서비스 뱅크사인(Bank Sign)이 2018년에 출시됐지만 저조한 가입자 수와 복잡한 사용과정 등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에 KB국민은행은 발빠르게 지난해 7월, 자체 인증 서비스를 개발에 성공해 민간인증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KB국민은행이 자체 개발한 KB모바일인증서는 오는 12월부터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가 사라짐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KB모바일인증서 가입자 수를 연내 1000만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활용범위도 KB금융 계열사와 공공기관 등으로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KB모바일인증서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해 독자기술로 개발한 사설 인증서로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도 보안 기술을 적용했고 인증서 유효기간도 없어 인증서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KB모바일인증서는 사설 인증서의 한계점으로 지적받는 취약한 보완성을 극복한 인증서비스로 평가받으며 출시 11개월 만에 가입자 400만명이 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은행권 공동 인증서비스인 뱅크사인 가입자가 30만명임을 감안하면 10배가 많은 수치로, KB모바일인증서가 인증서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았다.

앞으로 남은 KB모바일인증서의 과제는 범용성 확대다.

KB모바일인증서가 인증서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나 공공기관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야 한다,

현재는 대출신청을 할때 소득관련 서류를 국세청 등 공공기관으로부터 스크래핑으로 가져와야 하는데 아직은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자정부 서비스 중 공인인증서만을 요구하는 사이트는 약 35개다.

하지만 오는 12월부터 공인인증서의 우월적 법적 지위로 인한 시장독점 문제점을 해소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시행 예정인 만큼 정부, 공공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업이 필요해 보인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24, 국세청 등의 전자정부 서비스에도 KB모바일인증서가 사용가능하도록 범용성 확장이 최대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IBK기업은행도 자체 인증 서비스 개발을 완료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해 개인 모바일뱅킹 앱 아이원뱅크(i-ONE Bank)를 전면 개편해 새롭게 출시했다.

아이원뱅크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하는 모바일인증서로 금융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총 7단계를 거쳐야했던 이체 거래도 로그인-이체금액-입금계좌번호-6자리 인증비밀번호 4단계로 줄여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아이원뱅크는 6자리 비밀번호로 기존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 휴대폰 인증과 신규비밀번호를 모두 대체할 수 있다.

이밖에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남은 6개월 동안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자체 인증서를 개발할지여부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신한은행의 쏠 패스는 사설인증 서비스 역할을 하고 있다. 쏠 패스는 공인인증서 없이도 로그인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 QR코드를 통해 로그인에 접속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공인인증서나 지문, 패턴 등을 이용해 인터넷뱅킹에 로그인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자체 인증서 개발보다는 은행권 공동 인증서 사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융결제원과 은행권 공동으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