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MBK 인수 당시 고용 승계 인정받았지만 대규모 구조조정 단행

오렌지라이프 직원 수, 신한생명 60% 달해 고용 불안정 가능성 ‘높아’

서울 중구 신한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신한금융지주 제공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신한금융그룹이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를 통합하기로 한 가운데 직원들은 통합에 따른 고용 불안정을 우려하고 있다.

신한금융은 오렌지라이프 직원들의 고용승계가 원칙이라는 입장이지만 과거 매각 과정에서 혹독한 구조조정을 겪은 오렌지라이프 직원들 입장에선 여전히 불안감을 지우지 못하는 모양새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 30일 오후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린 ‘뉴 라이프 추진위원회’에서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의 통합일을 내년 7월 1일로 확정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2월 오렌지라이프를 자회사로 편입한 뒤 지난 1년간 공동경영위원회를 통해 통합 관련 주요 사항을 논의해 왔다.

신한생명은 TM채널과 건강보험 부분에서, 오렌지라이프는 FC채널과 변액보험 부문에서 각각 강점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산 규모 기준 업계 순위는 지난해 말 기준 신한생명이 33조8000억원으로 6위, 오렌지라이프가 33조7000억원으로 7위다. 두 회사 가 통합하면 자산이 67조원으로 불어나 단숨에 업계 5위 NH농협생명을 제치고 5위로 올라서게 된다.

이렇듯 두 회사 통합 시 시너지 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작 직원들의 속마음은 복잡하다. 통합 후 고용 불안정에 따른 일자리 상실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인수전 당시부터 오렌지라이프 노조 측은 신한금융에 고용승계를 강력하게 주장해 신한금융이 이를 상당 부분 수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용병 회장은 지난해 오렌지라이프 인수를 공식 선언하면서 고용 승계를 약속했다. 오렌지라이프는 과거 2013년 12월 MBK파트너스에 매각될 당시 3년 고용보장을 MBK측으로부터 약속 받았지만 인수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임원 18명을 포함한 부서장 이상 임직원 5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2014년 7월 오렌지라이프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입사 5년차 이상, 차장급 이하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았다. 150여명이 퇴사했다.

이번 통합 과정에서 오렌지라이프 노조 측은 MBK에 인수될 때보다 더 강력한 고용 안정 약속을 받았지만 과거 전력에서 보듯 얼마든지 고용 승계 약속이 경영 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이라는 미명 하에 틀어질 수 있다.

물론 과거 생명보험사의 통합 사례를 보면 인수 후 합병 과정에서 무조건 구조조정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2018년 3월 당시 미래에셋생명은 PCA생명을 인수하면서 전 직원의 고용을 보장했다. 그러나 이는 당시 PCA생명의 직원 수가 미래에셋생명의 4분의 1 수준으로 적었기에 가능했다.

2017년 말 기준 PCA생명 직원 수는 273명으로 같은 시기 직원 수가 1024명이나 됐던 미래에셋생명이 고용 승계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됐다.

하지만 2019년 12월 말 기준으로 신한생명의 직원 수는 1232명이고, 오렌지라이프의 직원 수는 741명으로 오렌지라이프 직원 수는가 신한생명의 60%나 된다. 전 직원의 고용승계를 보장하기엔 오렌지라이프 덩치가 만만치 않게 큰 셈이다. 대규모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게 점쳐 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인수 당시부터 오렌지라이프 직원들에 대한 고용 승계가 원칙이었고 지금도 그런 원칙에 변화가 없다”며 “조용병 회장도 고용 승계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어느 직급까지 고용 승계가 이뤄질지 여부에 대해선 아직 논의된 바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