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보증 및 시공보증 사업장 현황. 자료=조오섭 의원실 제공
[데일리한국 김현진 기자] 올해 분양(임대)보증 사고가 급증하면서 2012년 1조원에 가까운 대규모 분양보증 사고가 되풀이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조오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분양보증 사고는 2017년 0건, 2018년 1건, 2019년 1건에 불과했으나 지난 8월 말 기준 9건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보증은 사업주가 파산 등의 사유로 분양계약을 이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 해당 주택 등의 분양 이행 또는 납부한 계약금 및 중도금의 환급을 HUG가 책임지는 상품이다.

부실 사업장은 완주 이안 공동주택과 군산 수페리체 임대아파트, 울산 이안지안스, 광주 송정 숲안에 2차 등 지방에 집중되고 있다.

올해 분양보증 중 4건은 HUG가 직접 분양을 하거나 시공자를 승계할 계획이고 나머지 5건(615억원)은 HUG가 사업자를 대신해 분양계약자에게 계약금이나 중도금을 환급해 줄 계획이다.

특히 환급 계획 중인 615억원 중 5억여원만 회수돼 나머지 610억원은 HUG가 떠안게 됐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분양보증 사고의 급증이 올해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9월 말 현재 공사가 중단돼 분양보증 해지 등이 예정돼 HUG가 관리·경보 단계로 지정한 부진사업장은 3곳, 공정부진률이 10% 이상인 주의(12곳), 관찰(24곳) 사업장도 36곳에 이른다.

조오섭 의원은 “분양보증 사고로 지난 10년간 상각(대신 갚아준) 금액이 7000억원을 넘어서고 있다”며 “분양보증의 심사, 발급, 사후관리 등 3단계에 걸친 체계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HUG 관계자는 “부도나 이행할 수 없게 될 경우 사고처리를 하게 된다”며 “(사고가 난 사업장에 대한) 대위변제를 하고 나면 사업장에 대한 권리가 넘어오게 되는데 이 사업장을 공매를 통해 어느 정도 회수할 수 있지만, 전액을 회수할 순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