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불확실성 대비"…회전율 18회 초반에 머물러

예금은행 요구불예금 회전율. 사진=한국은행
[데일리한국 이혜현 기자] 가계나 기업이 은행에서 수시로 입출금 할 수 있는 예금을 올해 1분기에는 인출하지 않고 예치해 두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일단 현금을 쌓아둔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8.4회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85년 이래 분기별 회전율이 가장 낮았던 때는 1987년 1월(17.9회)이었다. 올해 1분기에 최저치에 근접한 것이다.

분기별 회전율은 2016년 4분기(20.3회) 이후 줄곧 20회를 밑돌다가 2018년 4분기(20.0회)에 한 차례 20회를 회복했다.

이후 지난해 3분기 18.3회에서 4분기 19.2회로 반짝 증가했으나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1분기에 다시 감소했다.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가계나 기업이 돈을 꺼내 쓰지 않고 은행에 예치한 채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특히 요구불예금은 투자처가 있으면 바로 쓸 수 있는 단기 부동자금으로 분류되는데, 이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경제 주체들이 투자보다는 일단 넣어두기로 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요구불예금은 올해 4월 요구불예금(평잔, 계절조정계열 기준) 278조5400억원이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해 12월(251조8900억원)보다 10.6% 증가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 주체가 돈을 넣어둔 채로 쓰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불안이 크다는 뜻"이라며 "코로나19 때문에 커진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완충 자금을 모아둔 것"이라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