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윤희 기자] '라임 사태' 이후 증권사들이 자산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총수익스와프(TRS) 자금 회수 요청에 나서면서 자산운용업계의 환매 중단 사례가 늘어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이 긴급회의를 열고 증권사들에 조기회수를 하지 않도록 경고했다.

28일 알펜루트자산운용은 최대 1100억원 규모의 '알펜루트 에이트리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 등 3개 펀드의 환매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환매중단액이 1800억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전했다. 알펜루트 관계자는 “극단적 최대 값을 가정하면 다음 달 말까지 환매연기 가능 펀드는 총 26개이고 규모는 1817억원”이라며 “3개 펀드 외 나머지(23개) 개방형 펀드는 시간을 두고 환매연기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알펜루트 측은 “TRS계약을 맺어 펀드에 자금을 대출해준 증권사 3곳이 450억원에 달하는 자금 상환을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해 라임 사태 이후 일부 증권사에서 운용사와 체결한 TRS 계약의 증거금률을 급격하게 올리거나, 거래를 조기 종료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다.

이날 금융감독원은 오후 3시부터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에게 TRS를 통해 신용을 제공한 6개 증권회사의 담당 임원과 긴급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라임과 알펜루트 펀드에서 환매연기가 발생했고 일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로 전이될 개연성도 있어, 시장혼란과 투자자 피해 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증권사의 TRS 자금 규모는 19개 자산운용사에 2조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는 자산운용사와 TRS 계약을 맺고 있는 미래에셋대우증권, NH투자증권, KB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6개 증권사 담당 임원이 함께 했다.

금감원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에 대한 갑작스런 TRS 증거금률 인상 또는 계약 조기종료 등으로 인한 시장혼란 방지와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해 사전에 관련 당사자간 긴밀한 의사소통을 당부했다.

또 금감원은 현행 TRS 계약을 통해 취득한 자산에서 부실이 발생하는 등 불가피한 사유가 아니라면 갑작스러운 증거금률 상승 또는 계약의 조기 종료 전에 관련 운용사와 긴밀한 사전 협의 등을 통해 연착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당부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