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등 4차산업기술 적용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 발표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정부가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에 착수, 오는 2030년까지 관련 시장의 점유율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수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등 모든 과정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해양수산업에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용, 체질 개선과 함께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해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것이다.

전략에는 해운·항만, 수산, 해양공간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9개 핵심과제와 25개 세부 추진 과제가 담겼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시장 50% 점유 △스마트양식 50% 보급 △사물인터넷 기반 항만 대기 질 측정망 1000개소 구축 △해양재해 예측 소요시간 단축(12시간→4시간) △해양수산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이다.

해수부는 우선 해운·항만 분야의 스마트화를 위해 내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에 나선다. 2025년까지 원격제어와 기관 자동화 등을 갖춘 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을, 2030년까지 완전 무인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초고속·대용량 하역을 위해 항만 자동화 시스템도 개발하기로 했다. IoT와 AI로 최적의 물류 프로세스와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드는 지능형 항만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해상의 초고속 통신 수요도 반영, LTE-M 등 통신망을 구축하고 내년부터 e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개시하기로 했다.

수산물 생산·가공·유통 등 수산 분야의 모든 과정에도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디지털 기반의 신(新) 수산업을 추진하기 위해 해수부는 어업인이 어종과 어획량 등을 해상에서 바로 입력할 수 있는 전자어획보고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어선의 어획량 등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총허용어획량(TAC) 감시 시스템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능형 폐쇄회로(CC)TV 기반의 인공지능 옵서버를 개발, 불법조업 여부 등도 실시간으로 분석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인공지능 옵서버는 2025년까지 근해 어선 2700여척에 탑재, 이후 연안어선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내년부터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수산물 영상을 확인한 뒤 주문할 수 있는 ‘캠마켓’도 구축, 원산지 판별을 고도화하는 기술도 적용해 안심할 수 있는 유통·가공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해양공간(해양환경·재해·안전) 분야에서는 해양 쓰레기의 발생을 추정해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수거·처리를 위한 통합관리 플랫폼을 만들기로 했다. 항만의 미세먼지도 IoT에 기반을 둔 측정망을 통해 상시 관측하기로 했다. 해양재난과 재해를 분석·예측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12시간에서 4시간으로 줄이고, 연안·소형 선박의 안전 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해양수산업이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발전에 따라 지속해서 전략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