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서울 양천구 남부지검에서 우리은행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피해자들과 금융정의연대 관계자 등이 손태승 우리은행장을 사기죄로 고소하기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국내 시중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를 무리하게 판매했다가 막대한 원금 손실을 본데 대한 비판이 거세지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내달 DLF에 대한 분쟁 조청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DLF 안건을 내달 중에 분쟁조정위원회에 상정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통상적으로 분쟁 조정 사례가 불완전판매인지 여부 등을 확인해 적합성과 설명의무 위반, 부당권유 등의 요인을 고려해 배상 비율을 결정한다.

이번 DLF 사태와 관련해 은행들이 무리하게 판매를 독려하고 DLF를 원금 손실이 거의 없는 고수익 상품으로 오인하도록 홍보하는 등 각종 문제가 드러난 상황이어서 배상 비율이 이례적으로 높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다만 과거 동양그룹 CP·회사채 사태 등에서도 평균 배상 비율은 20% 초반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최대치의 배상 비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현재 일부 DLF 피해자와 시민단체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 혐의 등으로 DLF 주요 판매사인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행장을 고소·고발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