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출 승수효과 추정…“정부 재정정책, GDP 늘리는 효과 있어”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산적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정부 재정정책을 통해 국내총생산(GDP)을 늘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새로운 재정지출 식별방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정부지출 승수효과 추정' 보고서 분석 결과 정부가 1조원을 새로 지출하면 5년간 GDP가 총 1조2700억원 증가하는 등 5년 누적 정부지출 승수효과가 1.27로 계산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지출 승수효과(GDP 증가분/정부지출 증가분)는 정부가 지출을 늘렸을 때 GDP가 얼마나 변화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정부의 확장적인 예산에 투자가 늘어나면 실제로 정부가 지출한 돈 이상으로 GDP가 불어날 수 있다. 이때 승수효과는 1 이상이 된다.

해당 연구는 경기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증감하는 지출은 제외하고 자의적인 정부지출에 한정해 승수효과를 계산했다.

예를 들어 경기둔화에 실업자가 늘어 실업급여 지출이 자연스레 증가한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반해 일본 수출규제에 정부가 소재·부품 국산화 예산을 새로 잡는 경우나 기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는 경우는 포함된다.

정부가 지출을 늘린다는 뉴스가 가계와 기업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도 감안한다. 정부가 복지를 확대한다는 소식을 들은 가계는 미래에 들어올 소득을 고려해 현재의 소비를 늘릴 가능성이 있다.

국방비 지출을 늘린다는 뉴스를 접한 기업의 경우 실제 정부 구매가 이뤄지기 전이라도 투자를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

박광용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지출 증가는 GDP를 늘리는 효과가 있다"며 "정부의 재정정책은 경기를 안정화하는 정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기존 방법론보다 승수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에 고려되지 않았던 사전정보를 통한 선행지출증가를 포착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정부지출 확대 소식을 접한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을 분석에 반영했음을 의미한다.

한편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은 정부지출 승수효과를 0.5 안팎으로 파악하고 있다. 추경이 10조원 집행되면 GDP는 5조원 늘어나는 데 그친다는 뜻이다.

이는 정부가 지출을 늘리기 위해 국채를 발행할 경우 시중에 자금이 떨어지면서 이자율이 오르고 투자가 오히려 위축되는 구축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