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경제연구원 조사결과…육아휴직자 남성 비율 16.2%로 전년비 2.6%p 상승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데일리한국 박창민 기자] 대기업 3곳 가운데 2곳은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 제도 확대와 함께 근무시간 관리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대기업 144개사를 대상으로 일·생활균형 제도 현황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근무시간관리제를 도입한 기업이 68.8%로 가장 많았다고 16일 발표했다.

근무시간 관리제도는 업무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도로, 집중근무시간제나 협업 시간제가 대표적이다.

집중근무시간제는 특정 시간을 정해 해당 시간에는 사적인 대화나 전화통화, 회의 등을 하지 않고 업무에 몰입하는 방식이다. 협업시간제는 시차출퇴근 등으로 근무시간대가 다른 점을 고려해 회의나 업무요청, 면담 등의 업무를 특정 시간에 집중하는 제도다.

한경연에 따르면 근무시간관리제에 이어 모바일 시스템 구축 등 '전자결재시스템 개편'(56.3%) 실시가 다음으로 많았다. 보고자료 간소화 등 '보고·회의문화 개편'(52.1%), 자율좌석제 등 '근무환경 유연화'(24.3%) 실시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기업들은 지난해 7월 시행된 '주 52시간 근무제'가 워라밸 제도에 미친 가장 큰 영향으로 '근로시간 관리 강화'(53.5%)를 꼽았다. 이어 '유연근무제 확대'(41.0%), '회식·휴가 및 여가 활용 문화 개선'(38.9%)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응답한 기업 중 절반 이상인 56.3%가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추가 도입된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65.4%)가 가장 많았다. 이어 시차출퇴근제(37.0%), 선택적 근로시간제(35.8%),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14.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이 밖에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6.2%로 지난해(13.6%)와 비교해 2.6%포인트(p) 높아졌다.

기업들은 출산·육아지원 제도에 따른 경영의 어려움으로 '동료 직원의 업무부담 증가'(54.2%)를 1순위로 꼽았다. 애로사항이 없다는 응답은 13.2%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은 워라밸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금 인상과 세제혜택'(38.2%), '법적 규정 마련과 위반 사업장 감독 강화'(24.3%), '대체인력 채용 지원 강화'(15.3%)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응답 기업의 72.2%가 육아휴직과 직장어린이집 설치 등으로 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실시기업에 대한 지원금 인상이나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