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운영 종사자 80%, 금리 인상 점쳐…인상 시 국민 삶 더 팍팍해질 듯

금리 인상 동결 결정을 내렸던 지난 10월 1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30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가려진다. 만약 금통위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1년 만의 기준금리 인상이다.

한은은 이주열 총재 주재로 이날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 회의를 개최한다.

29일 현재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내일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106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9%가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시장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7일 대비 2bp(1bp=0.01%p) 상승한 연 1.920%로 거래를 마감했다.

한은은 지난 10월 금통위가 열린 이래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 시그널을 암시했다.

무엇보다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가 한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들어 미국 금리가 꾸준히 오르면서 지난 3월 한미 금리는 이미 역전됐고 이후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 추세대로라면 한미 간 금리 격차는 1%포인트를 넘게 된다.

한미 간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외국 투자 자본이 썰물처럼 국내를 빠져나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돼 금융 시장 안정이 흔들릴 수 있다.

지난 10월 금통위 회의에서도 이미 위원 2명이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 한미 간 금리 차를 좁혀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한은은 마지막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1년 전인 지난해 11월 금통위 회의에서다.

한편, 이번에 금리가 인상되면 그렇지 않아도 불경기가 더욱 심화될 수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고용시장은 연일 부진한 상태고, 자동차와 조선 등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주력 산업들이 저조한 실적을 내고 있다. 수출은 아직까지는 흑자를 보이고 있지만 국내 내수 시장에 피를 돌게 하는 파급효과는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 간 역분쟁과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신흥 국가 금융 불안 사태로 인해 국제적인 환경도 안개가 껴 있다.

특히 무엇보다 1500조원 이상의 천문학적인 가계 대출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서민층의 이자 부담이 더해진다.

대출자들은 자연스럽게 소비를 줄여 가계를 긴축하게 되고 이는 더욱 경기 침체가 심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특히, 취약차주와 한계기업들의 줄도산 사태가 우려된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