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공개, ICT·거시경제 부문 1위…노동시장 부문 등은 순위 저조

서울 명동 거리가 인파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올해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은 140개 국가 중 15위로 전년 대비 2계단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는 17일 세계경제포럼(WEF)이 공개한 국가 경쟁력 평가 결과에서 위와 같이 평가 받았다고 밝혔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12개 부문 중 10개 분야서 30위 내에 안착했다.

특히 거시경제 안정성과 정보통신기술(ICT)보급 등 2개 분야는 1위를 차지했다.

ICT 보급의 부문을 항목 별로 세세하게 살펴보면 광케이블 인터넷 가입자 수에서 1위,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는 6위였다.

거시경제 안정성 부문에선 물가상승률과 공공부문 부채의 지속가능성 등 2개 항목이 1위에 올랐다.

12개 부문 가운데 인프라(6위)와 혁신역량(8위), 시장규모(14위), 보건(19위), 금융시스템(19위) 등이 20위 내에, 기업 활력(22위)과 제도(27위), 기술(27위) 등도 30위 내에 포진됐다.

하위 항목에서는 재정 투명성(1위)과 온라인행정서비스(1위), 전력보급률(1위), 부실채권 비중(2위), 구매자성숙도(2위), 연구개발(R&D) 부문 지출(2위), 해상운송 연결 정도(3위), 국내총생산(GDP) 대비 보험료(4위), 철도 서비스(4위), 토지관리의 질(6위), 파산법률 체계(8위), 항공서비스(9위) 등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에 반해 12개 부문 가운데 노동시장(48위)과 생산물시장(67위)은 하위권으로 처졌다.

노동시장 부문의 경우 노사관계에서의 협력이 124위로 경쟁력이 가장 순위가 낮았고, 이어 정리해고 비용(114위)과 근로자의 권리(108위), 외국인 노동자 고용의 용이성(104위)도 경쟁력이 뒤떨어졌다.

생산물시장에서는 관세율이 96위로 가장 순위가 낮았다, 다음으로는 독과점 수준(93위)과 관세의 복잡성(85위)이 뒤를 이었다.

한편, 국가 경쟁력 1위는 미국이었고 2위는 싱가포르, 3위는 독일 순이었다.

다음으로는 4위 스위스와 5위 일본, 6위 네덜란드, 7위 홍콩, 8위 영국, 9위 스웨덴, 10위 덴마크, 11위 핀란드, 12위 캐나다, 13위 대만, 14위 호주였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 중 5위로, 노르웨이(16위)와 프랑스(17위), 중국(28위) 등보다 순위가 높았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