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25bp 오를때 GDP의 0.38% 유출…변동성 확대에는 대비해야"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의 정책 금리가 올라도 국내 외국자본은 급격하게 유출되지 않고 통상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우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7일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외국자본 유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미국의 정책금리 등이 국내 자본 유출 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했던 미국의 통화 당국은 2015년 12월 이후 지금까지 정책 금리를 25bp(1bp=0.01%포인트)씩 여섯 차례 인상했다.

올해에도 미국의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국내 외국자본이 급격하게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 연구위원이 한미 금리 차와 외국자본 유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금리가 미국보다 높은 상황이 심화하는 시기에 오히려 외국자본이 유출되는 흐름이 나타났고 관련 계수 추정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미 각국의 금리를 독립적인 설명 변수로 사용해 다시 분석한 결과에서도 미국 금리 인상이 외국자본 유출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 금리를 25bp 올릴 경우 우리 자본시장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외국자본의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0.38%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채권투자 등 부채성 자금을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 규모는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거나 지정학적 위험이 커져도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이 있지만 3천984억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 등을 고려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금리 인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동시에 확대되면 외국자본 유출 폭이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위원은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는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양호한 외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종=연합뉴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