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물가·경기 여건 지지부진해 인상 어려울 듯…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부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시작에 앞서 잠시 생각에 잠겨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한국은행이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와 같은 연 1.5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내일 한은 금통위 결과에서는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한 상태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8일부터 11일까지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93%가 동결을 예상한 바 있다.

이는 현재 물가와 경기 모두 지지부진한 탓에 한은이 금리인상에 나서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고용 사정이 침체 일로에 빠지면서 지난해 3%대로 경제 성장을 한데 따른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사그라 들었고, 올해 경기 개선 전망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도 우리 경제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발언을 했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미국 금리인상 부담이 크다. 최근 아르헨티나가 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했고 터키도 경제 사정이 혼란에 빠지는 등 일부 신흥국들이 크게 휘청이고 있다.

국제유가는 브렌트유가 한 때 80달러를 돌파하는 등 심상치 않은 상태다. 유가 상승은 미국 물가 인플레를 불러와 미 기준금리 인상 도미노로 이어질 수 있고, 이런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는 "글로벌 차원의 달러 유동성 경색이 발생하면 국내에도 영향이 파급될 소지가 있다"며 "신흥국 전반에 투자심리가 악화하고 외화 유동성이 위축될 가능성에는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6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은의 고민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내 겅제 여건이 부진한 상황에서 미 금리인상 흐름에 맞춰 금리를 인상할 경우 올리면 국내 경제 주체들이 짊어지게 될 부담은 더욱 커진다. 그렇다고 해서 미 금리가 올랐는데 우리 금리를 올리지 않게 되면 자본유출 발생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우리나라 경제의 큰 리스크인 가계부채 문제도 한은의 고심을 깊게 만들고 있다. 정부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가계 대출 증가세는 여전하다. 이에 가계 대출을 잡자고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가계빚 부담이 커져 취약차주들이 타격을 입게 된다.

우선 금융시장에서는 이달 국내 금리 동결 후 추후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한은의 신호를 주목하고 있다. 미 금리 인상에 맞춰 오는 7월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인가, 아니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당분간 금리 인상을 자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