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경력단절여성 10명중 4명은 임신·출산 때문에 사직
남성은 입대 시기에 학업·일 단절 집중

편집 김민준, 아이클릭아트 그래픽 사용
젊은 여성들이 임신·출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면서 30대 초반에서 여성 취업자 비중이 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조사 자료를 분석해 20일 공개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세 이상 기혼 여성이 일을 그만둔 이유는 결혼이 58.5%로 가장 높았고 임신·출산이 28.4%였다.

취학 전 자녀 양육이 7.2%, 부모 등 가족 돌봄 3.8%, 취학 자녀교육이 2.1%로 뒤를 이었다.

경력단절 여성(일명 경단녀)이 된 사유를 연령대별로 구분해보면 50대 이상은 결혼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았고 젊은 층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대는 결혼이 51.3%, 임신·출산이 42.9%였고 30대는 결혼이 43.0%, 임신·출산이 45.1%였다.

결혼을 계기로 일을 그만둔 여성 가운데 임신·출산을 미리 염두에 둔 사직이 포함된다고 보면 임신과 출산이 사직에 미친 실제 영향력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40대, 50대, 50대 이상은 결혼 때문에 일을 그만둔 비율이 각각 56.9%, 69.1%, 68.9%에 달했고 임신·출산으로 사직한 비율은 29.8%, 17.9%, 14.8%였다.

40대 이상 여성의 경우 결혼을 계기로 이미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아 임신·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율이 낮고 이보다 젊은 기혼 여성의 경우 결혼 후 일을 지속하다가 임신·출산으로 직장 생활을 이어가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통계청 관계자는 분석했다.

가족을 위해 기혼 여성이 일을 그만두는 사유도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30대의 경우 자녀 양육 때문에 사직한 비율(9.3%)이 높았고 60세 이상의 경우 부모 등 가족을 돌보기 위해 일을 포기한 비율(9.0%)이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임신·출산 때문에 경력단절이 발생한 비율은 서울(30.9%), 세종(30.7%), 경기(30.5%)가 높았고 결혼 때문에 그만둔 비중은 경북(67.4%), 강원(66.2%)이 높았다.

자녀 양육·교육으로 인한 경력단절 비중은 서울(12.1%), 경기(10.3%), 세종(10.9%)에서 높았다.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에 따라 여성 경력단절이 발생하는 시기는 5년 전 조사와 비교해 약간 늦어졌고, 경력단절로 인한 여성 취업자 비율 하락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경력단절을 상징하는 여성 취업률 그래프의 'M자 곡선'은 함몰 시기는 지연되고 함몰 깊이는 약간 낮아졌다.

2010년 조사에서 경력단절 정점에 있는 35∼39세 여성의 취업자 비중은 55.2%였는데 2015년 조사에서는 56.5%로 1.3% 포인트 높아졌다.

청년층(15∼34세) 인구를 취업 여부, 정규 학교 재학 여부에 따라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비재학·취업 인구와 비재학·비취업 인구 비율은 2010년보다 각각 1.9% 포인트, 0.6% 포인트 늘어난 45.2%, 20.5%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대학 진학률이 하락하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풀이했다.

청년층 학업과 일의 흐름을 분석하면 남성은 입대가 집중된 20∼24세에 단절이 많이 발생하고 여성은 20대 후반부터 결혼·출산 등의 영향으로 단절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 20∼24세 취업자 비중은 남성은 31.7%, 여성은 43.1%로 여성이 11.4% 포인트 더 높았다.

반면 30∼34세 취업자 비중은 남성은 87.1%로 20대 후반(67.5%)보다 19.6% 포인트 상승하는 반면, 여성은 59.8%로 20대 후반(68.6%)보다 8.8% 포인트 하락했다. (세종=연합뉴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