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환 한화솔라파워 대표 “글로벌 태양광발전 낙찰 단가 kWh당 0.0291~0.0242”

”태양광산업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가운데 일자리 창출 효과 가장 높아“

차문환 한화솔라파워 대표는 "한국이 신재생 역량이 풍부한데도 소규모 태양광발전위주로 보급돼 있다"고 말했다. 사진=이규연 기자 fit@hankooki.com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차문환 한화솔라파워 대표가 한국 태양광의 발전잠재량이 에너지전환에 충분하지만 1MW이하 중소규모 발전소가 전체의 70~80%로 중소 규모의 중심에 머물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데일리한국이 21일 개최한 '2030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세미나'에 주제발표자로 참석한 차 대표는 “국내 태양광의 기술 발전잠재량이 2016년 전력거래량의 20배 이상으로 에너지전환에 충분한 잠재량을 가지고 있으나 1MW이하 중소규모 발전소가 전체의 70~80%에 달한다”고 말했다.

차 대표에 따르면 한국 태양광의 설비용량은 기술적으로 7451GW로 육상풍력 64GW, 해상풍력 33GW보다 월등히 높다. 지리적으론 태양광은 2만4178GW이며 육해상풍력은 각각 118GW, 216GW다.

하지만 한국 태양광의 보급 상황은 척박했다.

한국 태양광 시장에서 100kW미만 규모의 태양광발전 설비가 378MW, 100~500kW급은 156MW, 500kW~1MW급은 165M였다. 반면 1~3MW급은 142MW, 3MW 급 이상은 63MW였다. 요컨대 1MW의 설치용량 비중이 전체의 70~80%에 달한다. 실제로 2016년 약 77%다.

차 대표는 이러한 분석을 배경으로 자생적 시장 생태계를 신속히 구축해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의 목표를 조속히 달성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자생적인 시장 생태계를 구축하면 민간 시장 주도로 태양광 시장이 급성장이 가능하다”며 “정부와 전력공기업 등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통해 임계점 도달 시점 단축을 위한 혁신적인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 대표는 이를 위해 △지자체의 과도한 입지규제 철폐 △전력인프라의 신속한 확충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 활성화를 해결과제로 제시했다.

차 대표는 “전국 약 50여 기초자치단체가 태양광발전설비를 도로나 주거지역으로부터 100~1000m 떨어트려 짓도록 규제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거나 산지와 같은 외딴 지역에 설치할 수 밖에 없어 산림 벌목으로 인한 환경 훼손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한 비용 증가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계통접속 대기 물량이 2016년말 1.8GW에서 2017년 2월말 2.3GW로 빠른 증가 추세”라며 “한전 등 전력공기업이 최근 수년간 올린 수 십조원의 영업이익을 재원으로 차세대 전력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 활성화를 제언했다.

그는 “새만금, 수도권매립지, 지방 간척지 등 대규모 국공유지는 장기간 제염과 토지안정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고려해 20년간 태양광 발전사업에 활용하도록하고 이후 철해 본래 목적에 맞게 이용해야한다”고 말했다.

차 대표는 “2014년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산업 고용 인력은 약 770만명으로 2013년 대비 18% 증가했고 태양광산업 종사자는 250만명으로 전체 신재생에너지 고용의 약 32%를 차지한다”며 “태양광산업은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일자리 창출 효과가 가장 높아 정부의 일자리 정책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차문환 한화솔라파워는 태양광 보급을 위해 입지규제 완화와 민간기업-공공기업 간 협업을 강조했다. 사진=이규연 기자fit@hankooki.com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