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정확한 정보 없이 광고에 의존…전수조사·성분검사 실시해야"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생리대의 유해성 논란이 일면서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국내 품질관리 기준이 미흡하다며 국내 브랜드 사용을 거부하고 외국산 친환경 제품을 찾고 있다.

24일 여성환경연대 측은 서울 환경재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단순히 릴리안 브랜드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생리대 제품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화학물질이 여성들에 노출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향후 유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여성환경연대는 식약처에 대해 Δ현행 일회용 생리대 허가기준으로 논란이 된 각종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조사 Δ일회용 생리대 제품 전체에 대한 성분 및 위해성 조사 Δ화학물질 통합관리방안 및 관리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여성환경연대는 "현재 생리대 관련 규제는 포름알데히드, 색소, 형광물질, 산알칼리 규정뿐이므로 지금 논란이 되는 부작용의 원인을 규명하기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식약처가 현행 기준만 고집한다면 가습기살균제나 살충제 계란처럼 더 크고 심각한 사태를 유발할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성환경연대의 주장대로 현재 생리대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법 자체가 없다. 국외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측정하는 검사법이 없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절차를 끝낸 후 내년 11월에야 분석법 검증이 끝난다.

식약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 가능성에 대해서 “현재 평가 중이며 결과는 내년 11월 나올 예정이나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릴리안 생리대에 대한 품질검사에 착수했으며, 제조사인 깨끗한나라는 28일부터 전 제품을 환불해주기로 했다. 대형마트, 편의점, 드럭스토어 등 주요 유통업체도 일제히 판매를 중단했다.

소비자들이 불안한 이유는 문제가 된 생리대 제품 가운데 릴리안은 '친환경'인증을 받은 제품이기 때문이다. 릴리안 '더 건강한 순수한면'은 연구개발이 완료된 2013년경 미국 유기농교역협회의 오가닉공장인증(OE100)을 받았다.

OE100은 오가닉 코튼이 100% 함유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부여하는 민간인증으로, 3년 이상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면만을 사용해 제품을 만든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는 강원대 김만구 교수(녹색미래 공동대표)에 의뢰해 2015년 기준 생산순위가 높은 생리대 10종을 골라 유해물질을 조사했더니 모든 제품에서 유해물질 22종이 검출됐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국내 생리대 시장점유율은 유한킴벌리가 57%로 가장 높았다. 이어 LG유니참이 21%, 깨끗한나라와 한국P&G가 각각 9%, 8%다.

1위 업체인 유한킴벌리는 여성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화이트·좋은느낌·애니데이·오버나이트 등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2위인 LG유니참은 바디피트·쏘피한결 등을 팔고 있다. 3위인 깨끗한나라는 이번에 논란이 된 릴리안을 비롯해 순수한면 등 생리대 브랜드, 4위인 한국P&G는 위스퍼 등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이번에 발암물질과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등 유해 성분이 검출된 10개 제품은 모두 시장점유율 10위권 내에 있다.

하지만 생리대 유해물질 방출 시험을 조사한 여성환경연대와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팀은 깨끗한나라의 '릴리안' 이외의 제품과 제조사명은 직접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소비자들은 여성환경연대가 시장점유율 순으로 제품 조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이번 논란은 사실상 국산 생리대 전반에 대한 문제라고 보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대체품으로 생리컵이나 면생리대 등은 물론 일반 생리대보다 안전하다는 유기농 생리대를 찾고 있다. 하지만 이 마저도 국내에서는 구하기 힘든 실정이다.

대표적인 해외 직구 쇼핑몰인 ‘아이허브’에서는 영국산 유기농 생리대인 나트라케어의 7개 제품 중 6개, 이탈리아 유기농 여성위생용품 전문 브랜드 콜만 오가닉의 생리대 제품 4종이 품절 상태다. 코튼나라 등 여성용품 전문점에서도 뷰코셋, 콜만 등의 유기농 제품 대부분이 품절이다.

한편 해당 생리대를 만든 깨끗한나라에 대해 집단 소송에 나서겠다는 국내 소비자는 이틀 만에 8000명을 넘어섰다. 여성환경연대에 접수된 피해 사례도 3000건에 이른다. 해당 소송을 준비 중인 법무법인 법정원은 24일 카페 공지글을 통해 "소장 초안이 대부분 마무리돼 원고들 확정 후 다음주 소장 접수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