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 기자]

고리 1호기 영구 정지로 시작된 '탈 원전'

전일 우리나라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신정부 에너지 공약의 핵심인 '탈 원전'을 공식화 했다.
구체적으로 월성 1호기의 조기폐쇄, 미착공신규 원전 4기(신한울 3,4호기, 천지 1,2호기)백지화, 기존 원전의 수명연장 금지가 언급됐다.
논란의 대상이었던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간 여부 (공정률 28%, 매몰비용 약 2조원에 달한 만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환)' 결정을 제외하고는, 후보 시정 밝혔던 공약의 현실화는 확실해 졌다.

어느정도 예상했음에도 강한 시장 반응

이번 기념사에서 구체적인 '탈 원전 로드맵'이 제시되지 않았고, 기존 공약 대비 추가된 내용이 크게 없었음에도, 한국전력(한전) 및 원전 관련주(한전 KPS, 한전기술 등)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원전 관련주의 경우 국내 원전시장 축소가 확실해져 장기 전망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등 향후 예정된 부정적 이벤트들이 당분간 원전 관련주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대안으로 언급된 원전 해체사업이 관련주의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십 년 동안은 크지 않다 판단돼, 주가 회복에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다.

한전의 급격한 비용 증가는 2023년부터, 반면 전기 요금 인상 가능성 높아져

다만 한전의 경우 '탈 원전' 이슈가 한전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당분간 제한적일 것이다.
매년 1~2기의 원전이 순차적으로 정지에 들어가는 본격적인 탈 원전은 2023년에 시작되기 때문이다.
물론 점진적으로 한전의 친환경 투자 및 환경비용 부담이 늘어날 것은 확실하나,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높아진 상황이다.
산업용을 중심으로 전기요금 재편이 재언급됐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가능한 현 상황을 고려하면, 모든 비용 부담을 한전이 감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 입장에서 친환경 신재생 발전체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한전의 도움(비용)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도, 한전에게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다.
올해 하반기 8차 전력수급계획의 수립으로 신정부의 전력정책이 구체화될 것으며, 점차 한전을 둘러싼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탈원전’의 반사 이익은 LNG 발전이 누릴 전망

우리가 4월 10일字 보고서(정책 변혁, 다가오는 발전용 LNG의 봄)에서 전망한 대로, 장기적으로 기저발전(원전+석탄발전) 비중은 줄어들며, 그 빈 자리를 신재생과 LNG발전이 채울 것이다.
신재생 발전은 아직 현실적이지 못해 LNG발전이 중단기적인 대안이다.
이에 따라 과거 줄어들 것으로 전망(2014~2029년 연평균 4.2% 감소)했던 발전용 LNG수요가 2031년까지 연평균 2.6% 늘어나는 것으로 정부 전망의 방향이 바뀔 것이다.
한국가스공사는 발전용 LNG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장기 전망이 밝아져 확실한 수혜를 누릴 것이며 top pick 의견 유지한다.
또한 LNG발전기를 운영중인 민자발전사 및 지역난방공사와 같은 집단에너지사도 가동률 상승과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강승균 연구원)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