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요소생산성 대기업의 63% 수준 회복…급여 월306만원, 대기업 561만원의 54%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중소기업 제조업 직원 급여 수준은 같은 업종 대기업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기업규모별 생산성 격차 분석과 해소 방안’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총요소 생산성(TFP)은 2014년 기준 대기업의 63.6%를 기록했다. TFP는 노동, 자본 등 다양한 생산요소들을 적용해 산출되는 가치를 측정하는 개념으로 경제 전체의 혁신과 효율성을 나타낸다.

대기업과 비교한 중소기업의 TFP는 1983년 66.0%에서 1998년 84.7%까지 증가했지만, 이후 감소세로 전환돼 2010년에 56.6%까지 떨어졌다. 이후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2014년 63.6% 수준을 회복했다.

대기업의 TFP 증가율은 2010년대 들어서며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2000년대 전기 7.98%, 2000년대 후기 3.88% 증가율을 보였던 대기업 TFP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1.4%를 기록했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 TFP 격차는 줄었지만, 급여 수준의 차이는 커졌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지난 2015년 기준 제조업 분야에 속한 중소기업의 월평균 임금 총액은 306만원으로 대기업 561만원의 54.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공기업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지난 2015년 기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평균 연봉은 각각 9385만원과 9543만원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월평균 임금총액을 연봉으로 계산한 3672만원은 두 국책은행 직원의 40%가 채 되지 않는다.

지난 2015년 통계청의 사회조사 결과, 청년층 취업선호도에서 중소기업은 6.1%로 국가기관(23.7%), 공공기관(19.5%), 대기업(18.7%)에 훨씬 못 미쳤다. 대기업의 절반, 금융공기업의 40% 수준인 급여 수준 때문에 청년들이 중소기업 취직을 꺼리고 있는 것이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직원을 대상으로 지급한 성과급에 세액공제를 도입하는 등 세제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