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민형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경제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일단 금융시장에서는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함에 따라 금리 인상이 연내에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대체적이다. 미국 연준이 이르면 내달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와 관련 이날 '美 통화정책 불확실성 재부각 가능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금리 인상은 12월이 유력하지만 9월로 앞당겨질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자본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한국은행은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추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가뜩이나 가개부채 등으로 어려운 가운데 기준금리를 올릴 수는 없어서다.

외국인 자본 이탈 현상은 지난해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이 확산했을 때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작년 6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9개월 연속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다. 이 기간에 이탈한 외국인 자금은 266억달러(약30조원)에 달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의 불안감을 확산시켜 실물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 등 신흥국 시장이 타격을 받으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가뜩이나 하반기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이 우려되고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경제가 더욱 어려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가치를 높이면서 최근 원달러 환율의 급락을 둘러싼 걱정은 줄어들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이 오를 경우 우리나라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한은의 기준금리에 대한 고민은 덜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어렵고 현실적으로 동결이나 인하를 선택할 수밖에 없어서다. 현재 부진한 경기상황이나 가계부채 증가세 등이 우려되는 가운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내외금리 차 축소로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

때문에 한은은 결국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연준 통화정책 등 국내외 경제 여건을 관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 올해 안에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우리 경제의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하면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부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