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8곳은 중장기 사업계획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계획을 세우는 곳은 절반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중장기적 환경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실태와 시사점`을 조사한 결가 응답 기업의 84.3%가 `중장기 경영계획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진다`고 25일 밝혔다.

기업들은 중장기 사업계획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로는 `경쟁심화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 고조(56.1%)`를 첫 손에 꼽았다. 이어 `혁신적 신상품·신기업의 등장(15.4%)` `소비자의 인식 및 행태 변화(12.3%)` `국내외 경제 정책·제도의 급변동(11.1%)` `끊임없이 이어지는 지정학적 리스크(5.1%)`를 들었다.

하지만 1년이 넘는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절반 정도인 54.7%만이 `수립한다`고 답했다.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기업도 장기 사업에 대비하는 곳은 드물었다. 최장 예측기간이 5년을 넘는 기업은 30.7%에 그쳤다.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이 어려운 이유로는 `단기현안에 매몰돼 여유부족(81.9%)`이 가장 큰 문제로 나왔다. `빨라진 환경변화 속도(6.0%)` `잘못 예측할 경우 책임소재 부담(5.2%)` `자사내부 인식부족(4.3%)` 순으로 꼽았다.

업종별로는 `고무·종이·플라스틱(79.4%)` `기계·정밀기기(77.8%)`가 사업계획을 세우는 기업비율이 높았고 `식음료(35.3%)`와 `제약·의료(30.0%)`는 낮았다.

산업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기대하는 미래기술을 물어본 질문에 기업은 `신소재(28.3%)`를 높게 평가했다.

이어 `에너지 효율화·친환경에너지(18.3%)` `인공지능(16.7%)` `바이오·헬스케어(11.0%)` `사물인터넷·클라우드(9.3%)` `로봇·무인기기(9.0%)` `가상·증강 현실(6.0%)` 순으로 답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