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아이슬란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무려 89% 달해

정부, 값싼 전력 공급만 주력하다보니 이런 결과 자초

사진 출처=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한국의 전체 에너지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1%에 그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밝혀졌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근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각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겠다고 선언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활용 부문에서 너무 뒤처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일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15 재생에너지 정보'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1차 에너지 총 공급량(TPES)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1.1%로 잠정 집계돼 OECD 회원국 34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회원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평균 9.2%에 이른다.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는 태양광(열), 풍력, 조력, 수력, 지열, 바이오에너지 등을 일컫는 용어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990년부터 1.1%로 무려 25년간을 1% 수준을 맴돈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다음으로 재생에너지를 적게 쓰는 나라는 룩셈부르크로 4.4%였으며, 네덜란드(4.6%), 일본(4.9%) 등도 재생에너지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반면, 아이슬란드는 1차에너지 가운데 재생에너지의 비율이 무려 89.3%로 가장 높았다. 노르웨이는 2위로 43.5%였으며 뉴질랜드(39.1%), 스웨덴(34.4%), 칠레(32.4%), 오스트리아(30.8%) 등이 뒤를 이었다.

OECD 전체로는 재생에너지 사용이 25년간 연평균 1.8% 증가했으며, 1990년에는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5.9%였다.

지난해 기준 전체 발전량 가운데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의 비중에서도 한국은 1.6%로 최하위였다.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가 각각 100.0%와 97.7%로 1위와 2위를 차지했으며 오스트리아(81.2%), 뉴질랜드(79.1%), 캐나다(61.9%)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1차에너지 총 공급량 가운데 석유(35.6%)와 석탄(30.5%)의 비중이 특히 높았으며 천연가스(16.3%), 원자력(15.4%), 재생에너지(1.1%), 기타(1.1%) 등의 순이었다. 재생에너지 중에서는 바이오연료 및 폐기물에너지가 72.8%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나머지는 수력(12.2%), 풍력(3.6%), 태양광·조력(7.4%), 지열(4.0%) 등의 순이었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현저히 낮은 것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에너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경제성 위주로 값싼 원자력이나 석탄화력발전을 크게 늘려왔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기후변화센터 김소희 사무국장은 "한국은 재생에너지 사용과 관련해 안이하게 대처했다"면서 "과거 정부에서 녹색성장을 선언하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도 만들었지만 액션 플랜이 없었다"고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없었다고 꼬집었다.

정부가 IEA 기준인 재생에너지 외에 화석연료 폐기물 에너지 등 이른바 '신에너지'까지 합쳐 '신재생에너지'로 통계를 집계하는 것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장은 "한국은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시설을 설치할만한 공간도 부족하다"면서 "정부는 원자력과 석탄으로 전력을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재생에너지는 부가적으로 다룬 것이 문제였다"고 언급했다. 이 소장은 "에너지 수요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늘어나는 수요는 재생에너지로 대응한다는 정책을 세워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요금이 올라가는 것에 대해서는 국민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정부에 주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