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유토이미지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사상 최악의 적자를 낸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올 하반기 고강도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임원진을 대규모 축소하면서 비핵심 자산 매각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해양플랜트 등의 사업 축소로 인해 일반 직원 감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빅3는 올해 상반기 총 4조7,000억원대 영업 손실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처함에 따라 하반기에 임원 축소와 부서 통폐합, 비핵심 자산 매각, 신규 투자 중지 등을 통해 난국을 타개할 방침이다.

올해 2분기에 해양플랜트 부문 등에서 3조원의 적자를 낸 대우조선은 올해 하반기 고강도 구조조정을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대우조선은 모든 경영진이 책임지는 자세로 백의종군하고 부동산과 주식 등 비업무성 자산을 매각하며 고정비 등 각종 비용 절감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대우조선 경영진이 해양플랜트 손실 사태와 관련해 책임을 지겠다고 공개 천명한 이상 주채권단인 산업은행이 실사를 거쳐 대규모 물갈이와 임원 축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비업무성 자산 매각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웰리브, 에프엘씨 등의 계열사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현 청계천 인근의 대우조선 사옥 매각과 더불어 현재 마곡산업단지에 6,000억원을 들여 신사옥 및 R&D센터를 지으려는 사업도 전면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현재 자금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경영 건전화를 위해 비업무성 자산 매각 등에 속도를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2분기에 1조5,000억원대의 영업 손실을 기록한 삼성중공업도 비상이다. 대우조선의 적자는 예상됐던 바이지만 삼성중공업의 1조원대 적자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충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책임경영 차원에서 조만간 임원 수를 감축하고 유사기능 통폐합 등을 통해 중복기능을 제거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조직을 개편할 방침이다. 생산과 직결되지 않는 비효율 자산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도 개선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기존에 부사장급이 맡고 있던 조선해양영업실을 해체하고 산하의 영업팀들은 조선시추사업부와 해양생산사업부 등 양대 사업부장 직할로 이관한 바 있다. 신규사업으로 추진해 오던 풍력발전사업의 경우 시장 침체에 따라 영업을 중단하고 당분간은 기술개발만 진행하기로 하는 등 풍력발전사업을 축소했다.

삼성중공업은 책자로 발행하던 사보를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새해 직원들에게 1인 1부씩 나눠주던 벽걸이 달력도 올해는 제작하지 않았다. 임원 해외 출장 시 6시간 이내 거리는 이코노미석을 탑승하게 했으며 판교~거제조선소 출장 시 버스 이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2분기 실적 발표 후 인사를 통해 40대 임원을 대거 발탁하면서 임원진 물갈이를 했다.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 계열 3사를 중심으로 한 이번 상반기 임원 인사에서 25명이 퇴임하고 37명이 상무보로 선임됐다. 상무보 신규 선임자 37명 가운데 40대가 46%인 17명을 차지했다. 사실상 경영 실적 부진에 따른 문책 인사라는 평가가 많다.

문제는 이들 빅3의 고강도 구조조정의 종착역이 인력 감축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들 3사는 공개적으로는 감원설을 부인하고 있으나 임원 축소와 자산 매각 그리고 비수익 수주 지양 등으로 남는 대규모 인력에 대한 정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이들 빅3의 고용 인원은 지난해 말 기준 현대중공업이 2만8,291명, 삼성중공업이 1만3,788명, 대우조선이 1만3,602명으로 총 4만2,000여명에 달한다. 협력사까지 합치면 10만여명에 육박한다. 업계에서는 해양플랜트 등 대형 수주가 1건 줄어들 때마다 협력사를 포함해 수천명의 인력이 남아도는 걸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천문학적인 적자가 나자 조선사마다 고강도 구조조정을 들고 나오는데 결국 이는 인력 감축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면서 "당분간 전 세계 조선 시황이 암울한 상황이라 회사마다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