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수출 전선에 경고등이 켜졌다. 자료사진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우리나라의 수출 전선에 경고등이 켜졌다.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에 이어 추가로 돈을 푸는 일본의 엔저 정책 확대되면서 한국이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물건을 사줘야 하는 중국은 성장세가 약화하면서 지갑을 닫고 있는데다 수출 경쟁을 벌이는 일본은 엔저를 지속하면서 제품 가격을 내릴 분위기이다. 여기에 한 수 아래로 여겨졌던 중국 기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는 점도 우리 수출 기업들에겐 여간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중장기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자칫 우리 경제에 커다란 구멍이 뚫릴 수도 있다.

3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일 수출은 2012년 -2.2%, 2013년 -10.7%에 이어 2014년 1∼9월 -4.6%로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일본 수입시장에서 한국 제품 점유율은 2012년 7.6%에서 올해 들어 6.7%로 낮아졌다. 엔화 약세로 인한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엔화 가치 하락에 속도를 붙으면서 한국 제품의 입지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해외무대에서 벌어지는 승용차, 일반기계,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한일 경합에서 일본이 더욱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제품의 무기는 엔저를 앞세운 가격 경쟁력 강화다.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들이 그동안 엔저 지속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수출 단가를 내리는 데 소극적이었지만 추가 양적완화를 계기로 수출 단가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 경우 일본 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동안 엔저에 힘입어 영업 이익이 늘어난 일본 기업들이 연구·개발(R&D) 투자와 함께 해외 생산공장 확충을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면서 한일 간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일본의 해외 직접 투자액은 2011년 1,088억 달러에서 2012년 1,224억 달러, 2013년 1,351억 달러로 늘어났다.

한국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성장세 둔화는 불안 요인으로 지적된 지 오래다. 중국의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은 7.3%로 국제 금융위기가 닥친 2009년 1분기(6.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여기에다 가공무역 위주의 대중 수출 구조는 우리나라의 3분기 수출이 전 분기보다 2.6% 감소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을 바짝 추격하는 중국의 기술력 또한 위협 요인이다. 한국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학회, 산업연구원은 최근 공동 세미나에서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중국에 1.9년밖에 앞서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시장에서는 중국이 5년 내 조선·석유화학·통신기기·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우리나라 수준까지 치고 올라올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특히 조선 분야의 세계 1위 자리를 중국에 내 줄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24.7%로 작년 동기 35.0%보다 낮아졌다. 1위를 유지했지만 중국 업체에 시장을 점점 뺏기는 것이다. 중국 샤오미는 5.6%의 점유율을 차지해 LG전자와 화웨이를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한국 수출기업이 중국에 이미 경쟁력이 뒤지는 상황에서 일본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수출기업의 환율 변동 위험 노출을 줄이고 제품 경쟁력과 마케팅을 강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