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여성감독 다룬 ‘명색이 아프레걸’

음악·무대 등 업그레이드해 다시 선보여

국립극장의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이 12월 17일부터 31일까지 해오름극장에서 재공연된다. 사진=국립극장
[데일리한국 민병무 기자] 아기를 등에 업고 촬영장을 누비며 레디고를 외친 박남옥의 주체적 삶이 12월에 다시 찾아온다. 올 1월에 초연했으나 코로나 확산 여파로 단 5회밖에 공연하지 못했던 ‘명색이 아프레걸’이 재공연된다. 첫 공연 때보다 더 큰 무대에서 열리기 때문에 확대된 스케일에 맞게 이야기, 음악, 무대를 업그레이드 했다. 대형 LED를 활용해 풍성한 볼거리도 제공한다.

국립극장은 3개 전속단체(국립창극단·국립무용단·국립국악관현악단)가 참여하는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을 12월 17일(금)부터 12월 31일(금)까지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1923~2017)의 주체적인 삶을 그린 작품으로 지난 1월 첫선을 보였다. 초연 당시 코로나 때문에 5회 공연에 그쳤으나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11개월 만에 해오름극장에서 다시 선보인다.

‘명색이 아프레걸’은 영화 ‘미망인’(1955)를 연출한 한국 첫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아프레걸(apres-girl)’은 한국전쟁 이후 새롭게 등장한 여성상을 일컫는 당대 신조어로 봉건적 사회 구조와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주체적 역할을 찾은 여성을 지칭한다.

국립극장의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이 12월 17일부터 31일까지 해오름극장에서 재공연된다. 사진=국립극장
박남옥은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까지 격동의 시절을 살아오며 전통적 여성상에 도전한 대표적 인물로 꿈을 이루기 위해 아이를 업고 촬영장을 동분서주하며 영화 ‘미망인’을 제작했다.

여성의 사회활동이 녹록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꿈을 잃지 않았던 박남옥의 주체적이고 파란만장한 삶과 그가 남긴 유일한 영화 ‘미망인’의 서사를 교차하며, 시대를 앞서간 한 인간의 삶과 고뇌를 입체적으로 풀어낸다.

연출가 김광보와 작가 고연옥은 “박남옥 감독이 영화 한 편을 촬영하기까지 겪었던 어려움은 이 시대 여성들이 겪고 있는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아 큰 공감대를 끌어 낼 것이다”라며 “박남옥의 행보는 성공과 실패로 평가할 수 없는 도전의 가치, 시련과 절망 속에서도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갔던 한 인간의 숭고한 정신을 이야기 한다”고 전했다.

이번 재공연은 해오름극장으로 무대를 옮기면서 초연의 두 배에 가까운 총 75명의 출연진이 참여하는 대형 연말공연으로 탈바꿈했다. 초연 당시 6명의 무용수만 참여했던 국립무용단은 이번에 22명으로 출연진을 확대해 더욱 규모 있는 안무를 선보이며, 국립국악관현악단도 실내악 편성에서 밴드 포함 26인조 편성으로 확장해 한층 풍성한 사운드를 선보인다.

국립극장의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이 12월 17일부터 31일까지 해오름극장에서 재공연된다. 사진=국립극장
기존 박남옥의 일상 공간과 영화 ‘미망인’ 속 세트장으로 나뉜 2층 구조 무대에 대형 LED 장치를 추가해 더욱 생동감 넘치고 감각적인 미장센을 구현할 예정이다.

초연 무대는 김광보의 섬세한 연출과 고연옥의 탄탄한 대본, 나실인의 아름다운 음악이 어우러져 “전통예술의 색깔이 살아있되 전통의 문법에 얽매이지 않은 작품이다”라는 평을 받았다. 재공연을 위해 다시 뭉친 제작진들은 작품의 큰 흐름은 유지한 채, 새로운 해오름극장 무대 스케일에 맞춘 수정·보완 작업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주인공에 대한 관객의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박남옥의 고뇌를 조명하는 장면이 추가되는가 하면 국악기와 소리꾼의 장점이 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음악도 대폭 수정했다. 또한 새롭게 합류한 안무가 이경은이 대극장의 매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안무를 추가하고 국립무용단원 장현수가 협력안무를 맡아 한국적인 춤사위에 깊이를 더한다.

이소연(박남옥 역), 김지숙(김신재 역), 김미진(이민자 역), 김수인(이택균 역), 조유아(방영자 역), 이광복(김영준 역), 이연주(박영숙 역), 민은경(나애심 역), 유태평양(신동훈 역), 조영규(R 역) 등이 출연한다.

이외에도 협력연출 윤혜진, 무대디자이너 박상봉, 영상디자이너 정재진, 조명디자이너 이동진, 의상디자이너 김지연, 소품디자이너 정윤정, 분장디자이너 백지영 등 걸출한 제작진이 합류해 기대를 모은다.

티켓은 2만~8만원이며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