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에 실적급감…내수시장 버팀목

수입차 열풍 지속…역대 최대 판매량 돌파 전망

코로나 위기에도 노조리스크 여전…부분파업 잇따라

정의선 시대 개막과 쌍용차 기업회생 신청까지

[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올해 국내 완성차업계는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위기와 극복의 연속이었다. 지난 2월부터 코로나19 여파가 직접적으로 불어 닥치며 잇따른 공장가동 중단과 해외시장 판매 수축으로 수출은 곤두박질쳤다.

그러나 완성차업계가 이같은 위기에서도 버틸 수 있었던 힘은 내수 시장이었다.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와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몰아친 신차 열풍으로 내수시장은 코로나19 악재 속에서도 선전할 수 있었다.

수입차 브랜드들도 코로나19가 무색할 만큼 국내에서 높은 판매실적을 기록, 글로벌에서 국내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반면 일본브랜드는 한국닛산이 철수하는 등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거뒀다.

현대차 울산공장. 사진=현대차 제공
◇ 코로나19에 국내 완성차업체 판매 급감…내수는 '성장가도'

올해 국내 완성차업계의 수출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고 바닥을 쳤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1~11월 국내 완성차업계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9% 감소한 171만4702대로 집계됐다. 아직 12월 수출이 집계되지 않았지만 200만대 달성은 어렵다고 보는 분위기다. 이는 2003년 이후 17년만에 200만대 이하 수출실적이다.

완성차업계의 수출 감소는 올해 초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산 부품 수급 문제로 국내 공장들이 연이어 가동중단 되고,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이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판매절벽에 빠지면서 불거진 결과다. 여기에 일부 완성차업체 노조의 임단협 교섭 실패로 인한 파업도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줬다.

자칫 최악의 상황에 빠질 수 악재 속에서도 내수시장은 호실적을 보이며 완성차업체들의 버팀목이 됐다. 올해 1~11월까지 국내 완성차업계의 내수 판매량은 147만797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38만8327대)에 비해 6.1% 증가했다.

이는 정부가 개소세 인하 등 내수시장을 진작시키기 위한 노력을 펼친데다, 완성차업체들도 인기모델을 잇따라 출시하며 국내 소비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완성차 판매 성수기인 12월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판매 160만대는 넘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뉴 E-클래스. 사진=벤츠코리아 제공
◇ 수입차 시장, 역대 최대 판매량 돌파 전망…일본차는 판매 저조

국내 수입차 시장도 호황을 이어갔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등 독일 브랜드가 국내 인기 모델인 E클래스와 5시리즈를 각각 선보였으며, 아우디폭스바겐도 티구안 등 국내에서 꾸준히 인기를 이어오던 모델들의 흥행으로 수입차 전체 판매 증가에 힘을 보탰다.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국내시장 수입차 누적판매량은 24만344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3.4% 증가했다. 이는 11개월만에 지난해 연간 판매량에 근접한 수준으로 12월 판매 실적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26만대 판매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입차협회의 가입되지 않은 테슬라가 국내에서 1만대가 넘는 판매를 보인 것을 고려하면, 올해 수입차 판매는 2018년 26만705대의 기록은 가뿐히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일본차 브랜드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일본제품 불매운동 영향으로 판매가 저조했다. 올해 11월까지 일본차 누적 판매량은 1만8250대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44.7% 감소했다. 토요타를 중심으로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연 판매량 2만대를 겨우 넘는 실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11년 1만8936대 이후 최악의 성적이다.

한국닛산의 경우엔 판매저조를 버티지 못하고 지난 5월 결국 한국시장에서 철수했다. 한국닛산은 일본제품 불매운동 뿐만 아니라 닛산 본사의 경영난도 겹쳤다. 닛산 본사는 지난해 한국돈 약 7조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에 한국에선 닛산과 인피니티 브랜드의 영업은 올해로 끝이난다. 다만 서비스센터 등 애프터 세일즈 서비스는 2028년까지 유지한다.

사진=연합뉴스
◇ ‘다사다난’ 국내 완성차 5개사…노사 갈등에 골머리

올해 국내 완성차업계는 코로나19로 판매실적이 저조한 가운데 노조리스크까지 떠 안아야했다.

기아차는 지난 21일 경기 광명시 소하리공장에서 진행된 제16차 교섭에서 밤샘교섭을 벌인 끝에 '2020년 임금·단체협약' 잠정 합의안 도출에 성공했다. 이는 지난달부터 이어진 부분파업과 노사간의 진통 끝에 얻은 결과다.

그간 기아차 노사는 잔업 복원과 정년 연장 등 쟁점에서 입장차를 보이며 합의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지난달 24일 기아차 노조는 교섭결렬을 선언하고 4주간의 부분파업을 벌였다. 이기간 기아차의 생산차질은 4만7000대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지엠도 5개월 동안 노사가 26차례 만남을 가지며 교섭에 난항을 겪은 끝에 지난 18일 임단협이 최종 마무리됐다. 그러나 최종 합의까지 15일간의 부분파업으로 공장가동에 차질을 봤다.

올 상반기 한국지엠은 코로나19 여파로 6만대의 생산 손실을 봤으며, 하반기 부분파업 등으로 2만5000대 이상의 생산 차질이 생겼다. 올해 총 생산 손실 8만5000여대는 지난해 한국지엠 전체 판매량의 20%에 달하는 수준이다.

르노삼성자동차는 국내 주요 완성차 5개사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임단협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르노삼성차 노사간 교섭도 지난 9월 이후 사실상 멈춰진 상태로, 해결의 실마리조차 풀지 못하고 있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11월 집행부 선거로 임단협 교섭을 미뤄왔다. 그러나 집행부가 새로 꾸려진 이후에도 교섭은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상태다. 노조는 사측에 공문 등을 26차례 보내며 협상을 원하지만, 사측은 강경파로 꼽히는 현 박종규 노조 위원장의 연임 성공으로 교섭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현대차는 코로나19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사가 힘을 합쳤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임단협 교섭을 2년 연속 무분규 타결했다. 현대차 노사는 코로나19 극복을 최우선으로 11년만에 임금을 동결, 합의를 이끌어냈다. 교섭기간도 상견례 이후 40일에 불과했다.

쌍용차 역시 지난 4월 일찌감치 임단협 교섭을 마무리했다. 코로나19와 경영난 등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영 정상화에 힘쓰자는 취지였다. 노사는 올해 임금 동결 등의 내용의 합의안에 서명하며 2010년 이후 11년 연속 무분규 타결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쌍용차는 이달 법원에 기업회생 신청을 하며 경영정상화 실패를 선언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시대 개막부터 쌍용차 기업회생 신청까지…국내 완성차업계 지각변동

국내 완성차업체 가운데 맏형 격인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0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새로운 총수로 맞이했다. 정의선 회장이 총수에 등극하면서 현대차의 3세경영 체제가 본격화됐다.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 미래의 새로운 장을 열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했다. 코로나19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극복하고, 인류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해 함께 한다는 그룹 철학을 바탕으로 미래 핵심 기술과 역량을 보유한 그룹으로 거듭난다는 방침이다.

이달 15일에는 본격적인 정의선 체제를 알리는 첫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 역시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미래 산업 생태계를 주도할 리더십 확보에 중점을 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인사를 통해 전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리더를 발탁, 그룹의 미래사업과 신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창의적이고 열린 조직 문화 혁신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에 사업 성과와 역량이 검증된 리더를 주요 그룹사의 신임 대표이사로 전진배치 했으며 각 그룹사의 책임경영체제를 강화했다.

특히 정의선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그룹의 방향성을 정한 미래 자동차산업 관련 분야의 인사도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자율주행, 수소연료전지, 로보틱스 등 분야에서 미래 자동차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할 탁월한 성과와 전문성을 갖춘 리더와 신임 임원을 자리에 앉혔다.

사진=쌍용차 제공
반면 쌍용차는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지난 21일 이사회를 통해 회생절차 신청을 결의했다.

쌍용차는 지난 15일 경영상황 악화로 약 600억 원 규모의 해외금융기관 대출원리금을 연체했다. 이에 해당 금융기관과의 만기연장을 협의해 왔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만기가 도래하는 채무를 상환할 경우 사업운영에 막대한 차질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

다만 쌍용자동차는 회생절차개시 여부 보류 신청서를 함께 접수, 회생절차가 개시되기 전에 현 유동성 문제를 조기에 마무리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3개월의 보류기간이 끝날 때까지 신규 투자자확보를 포함한 자구책을 못찾는다면 회생절차가 개시될 전망이다.

쌍용차 측은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쌍용차 문제로 협력사와 영업네트워크, 금융기관 그리고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점 매우 송구스럽다”며 “더 탄탄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