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첫 수출은 1993년 최수종·최진실 주연의 <질투>… 중국 하얼빈TV 방영

'한류'는 '일류'와의 경쟁 통해 획득한 선물… "한류 신화 영원성 우리가 지켜내야"

박장순 홍익대 영상대학원 교수
[데일리한국= 박장순 홍익대 영상대학원 교수] 일본 경제가 전성기였던, 그래서 세계인의 부러움을 샀던 1970~80년대 그들의 J-pop과 드라마는 아시아 시장의 절대가치였다. 지금은 K-pop과 우리 드라마의 세력 확장에 밀려 기억에서조차 희미해져버렸지만, ‘일류’ 또는 ‘저패나이제이션’이라고도 불리던 당시 그들 문화의 복제, 확산은 경제가 급속히 쇠락해가는 1990년대 말까지도 아시아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마치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는 우리의 옛말을 입증이라도 하는 듯이 말이다. 우리 드라마의 아시아시장 공략은 이때부터 시작된다. 일본의 흔들리는 시장 지배력의 빈 공간을 우리 드라마가 파고든 것이다.

드라마 첫 수출은 <질투>…1993년 중국 하얼빈TV 방영>

중국의 하얼빈TV는 이런 측면에서 한국 드라마 수출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일본이 장악하고 있던 아시아 시장, 특히 중국 시장에서 우리 드라마 수출의 교두보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1993년 최수종, 최진실 주연의 드라마 <질투>(MBC)와 채시라, 최재성, 박상원 주연의 <여명의 눈동자>(MBC)를 수입해 방송한 하얼빈TV는 이로써 우리 드라마 수출사의 첫 머리를 장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드라마 수출의 첫 작품이 된 <질투>는 우리나라 최초의 트렌디드라마다. 젊은이들의 밝고 건강한 사랑과 삶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다. 당시 아시아 시장에서는 일본의 트렌디드라마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었다. 특히 <도쿄 러브 스토리>(후지TV)의 인기는 하늘 높은 줄을 몰랐다. 그런 일본 드라마의 위세 속에서 <질투>는 값싸고, 질 좋은 시장 경쟁력을 갖춘 드라마로 아시아 시장의 선택을 받는다. <여명의 눈동자>는 한국 최초의 스펙터클 드라마다. 엄청난 제작비와 스케일, 또 당시로서는 흔치 않았던 해외 현지 로케이션이 많은 작품으로 세간의 큰 관심을 모았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성노예로 차출된 ‘여옥’(채시라 분)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 작품들을 수입, 방송한 하얼빈이라는 지역이 갖는 역사성이다. 쑹화강 남쪽 기슭에 자리 잡은 하얼빈은 일제 식민지하에서 우리 선조들이 처절하게 항일의 역사를 펼쳤던 곳이다. 그 곳에서 우리 드라마가 중국 시장을 선점하고 있던 일본 드라마를 처음으로 공략하기 시작한 것이다. ‘일류’를 극복한 한류가 독립운동의 거점인 하얼빈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이 역사적 재미를 유발한다. 우리가 한류를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대목일 수도 있다.

말 한 필은 4톤의 무게를 끈다. 그러나 두 필이 힘을 합치면 22톤을 끈다. 이를 우리는 시너지효과라고 한다. 1993년 필마단기의 드라마 수출은 1998년 H.O.T의 중국 진출에서 시작된 K-pop의 아시아 시장 공략으로 쌍두마차 체제를 이룬다. 이것이 낳은 시너지효과는 30여 년이라는 긴 세월 암흑기를 보내고 있던 한국 영화를 깨우고, 1999년 <쉬리> 신화를 창조한다. 그리고 이어서 드라마, K-pop, 영화로 이루어진 삼두마차 체제는 2000년 온라인게임 <리니지>의 해외 수출을 자극한다. 이처럼 한국의 대중문화는 10년도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에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며, 드라마에서 K-pop으로, 다시 영화로, 온라인게임으로 수출 소재 영역을 확대하면서 일본이 장악하고 있던 아시아 시장을 급속히 잠식해간다.

'한류'는 '일류'와의 치열한 경쟁 통해 획득한 값진 선물

그렇다고 그 과정이 평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대만 시장은 최후까지 완강히 한국 드라마의 상륙을 거부했다. 일본 드라마의 저항이 가장 치열했던 곳이다. ‘한류’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쓰이기 시작한 1999년, 대만 시장에서 한국과 일본 드라마의 방송 비율은 15시간 대 114시간으로 일본 드라마가 절대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2000년 다소 개선되는 기미가 보였지만 여전히 18시간 대 85시간으로 일본 드라마가 우위를 차지했다. 그러다가 2001년 29시간 대 21시간으로 한국 드라마가 처음으로 일본 드라마를 앞서기 시작한다. 그리고 2002년 마침내 85시간 대 58시간으로 한국 드라마가 여유 있게 일본을 따돌린다. 4년여의 시장 경쟁을 통해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가 완성된 것이다. 그 해 한국은 문화 출초국가의 지위도 함께 얻게 된다.

한류는 이렇게 세계 시장을 선점했던 경제대국 일본의 대중문화 상품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획득한 값진 선물이다. 하얼빈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성이 어쩌면 더욱 한류를 우연으로 치부할 수 없게 하는 이유가 될 수도 있다. 우리의 의지가 그 속에 살아 숨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류’란 흐름이다. ‘확실치 않다’는 의미도 갖는다. 경쟁에서 지면 언제든지 물거품처럼 사라질 수 있는 환영이다. 결국, 한류는 이 시대의 선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이 시대의 선은 무엇인가? 한류 신화의 영원성은 우리가 지켜내야 할 이 시대의 과제다.

■박장순 홍익대 교수 프로필
동국대 연극영화학과, 미국 알리안트 국제대 연출 석사, 서강대 영상학 박사-EBS 편성기획 차장·PD, KBS미디어 국제사업부장, 위성방송 스카이 겜TV 대표이사, 부산콘텐츠마켓 공동집행위원장- 홍익대 영상대학원 교수(현) 국제미래학회 미래한류문화위원장(현) 한국방송비평학회 학술담당 부회장(현)/<한류학 개론> <전환기의 한류> <한국 인형극의 재조명> 등 저서 10여권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